경찰, "대포통장 입금, 수사 곤란" 주의 당부
“잠시 돈을 빌려 달라”며 동문들의 휴대폰에 메시지를 보내 돈을 뜯어내려는 신종 전화 사기가 등장했다.
29일 경찰에 따르면, 최근 도내 모 고교 동창회장인 A씨는 동창생으로부터 “네가 부탁한 300만원을 계좌로 이체하겠다”는 내용의 문자 메시지를 받았다.
돈을 빌려 달라는 메시지를 보낸 사실이 없는 A씨는 이 동창생에게 전화를 걸어 확인한 결과 “문자 메시지로 300만원을 입금하라고 하지 않았느냐.
그래서 돈을 보내려고 했던 것”이라는 내용의 대답을 들었다.
만약, 친구의 메시지를 받은 A씨가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지나쳤다면 친구는 300만원을 전화 사기범들이 불러준 대포통장에 입금했을 것이고, 신종 전화 사기에 걸려들고 말았을 것이다.
이에 대해 제주지방경찰 윤영호 수사2계장은 “중국에서 이 학교 동창회 홈 페이지를 해킹해 인터넷으로 문자 메시지를 보낸 신종 보이스 피싱 사건”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만약, 범인들이 불러준 대포통장으로 돈이 입금돼 버리면 수사를 제대로 할 수 없게 된다”며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주의해 줄 것을 당부했다.
지난 해 국세 환급금 지급 전화 사기로 본격화 된 전화 금융 사기는 전화요금 연체, 신용카드 사용금 연체, 자녀 납치, 미납한 벌금을 납부 하지 않으면 구속하겠다는 등 갈수록 다양한 수법이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제주지방경찰청은 농협 등 금융기관과 세무서, 전화국 등 유관기관과 함께 전화 금융 사기 피해예방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경찰은 전화 금융 피해예방 10계명을 제시하고, 전화 사기에 속아 억울한 피해를 입지 않도록 예방 요령을 숙지해 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