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의 퀸즈랜드 연안과 인도네시아, 인도양 등 주로 난류지역에 서식하는 분홍멍게가 서귀포 연안에 대량으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연안 어장 자원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약한 독성을 갖고 있는 분홍멍게는 식용으로 사용되는 일반 멍게와 달리 제거도 어려운데다 수심 5~20m에 대량으로 자리를 차지해 해조류 서식을 방해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조류를 먹이로 하는 소라와 전복 오분자기 등 패류자원을 고갈시킬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서귀포시는 최근 들어 성산포 연안을 중심으로 지구온난화에 따른 수온상승의 영향으로 분홍멍게 서식이 크게 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일부 장소에서는 20㎠의 면적에서 48개의 분홍멍게가 발견되는 등 분홍멍게가 급속하게 서식지를 확장시키고 있다고 소개했다.
분홍멍게는 1975년 제주연안에서 서식하는 것이 처음으로 발견된 뒤 최근에는 서귀포시 성산포 해안과 제주시 우도, 비양도 일대 연안에서 대량으로 발견되고 있다.
이처럼 수온상승으로 분홍멍게 서식이 늘면서 해양수산자원연구소와 제주수산연구소를 중심으로 분홍멍게 연안서식실태에 대한 조사가 현재 진행되고 있다.
서귀포시는 분홍멍게가 이처럼 대량으로 발견됨에 따라 분홍멍게에 대한 기능성 물질 등 성분분석 사업과 이를 자원화 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서귀포시는 그러나 이 같은 사업이 기초자치단체 차원에서 전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제주도 또는 국가차원의 대책수립을 건의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수온상승으로 백화현상(일명 갯녹음 현상)과 함께 분홍멍게까지 대량으로 바다 밑을 독차지 하면서 제주 바다가 또 다른 시련을 맞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