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ich country is pushing resumption of U.S. beef imports?
Which country is pushing resumption of U.S. beef imports?
  • 제주타임스
  • 승인 2008.06.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Most of the country is opposed to resuming American beef imports and yet the government is going ahead with its plans anyway, making you seriously wonder just who this government exists for in the first place.

The government says that through an “additional agreement” it is going to make sure that beef from cows older than 30 months at time of slaughter will not be imported. That includes four parts at particular risk of carrying mad cow disease: brain, eye, spinal cord, and skull from cows that are younger than 30 months of age.

Most Koreans, however, do not think the safety of American beef can be guaranteed by the voluntary self-regulation of American exporters. In the past, when there was an export certification program backed by the U.S. federal government, there was a time when more than 50 percent of beef imported from the U.S. was found to contain bone chips. How, then, is one supposed to believe in voluntary private regulation with far less U.S. federal government involvement? Also, risk materials like intestines and spine are from beef of cows under 30 months old are still going to be entering the country.

This is why it is only a matter of course that the majority of the country wants to postpone the resumption of American beef imports and get a renegotiated beef deal. The country is ill at ease about this, so it is dictatorial thinking and a direct challenge against the people to go ahead and resume imports with this “additional agreement.”

Seeing as how, right after the additional deal was arranged, the government said it would not move to hastily allow the resumption of imports, only to suddenly announce that it will be doing so, one sees signs that instead of putting consideration for the people first, the government has either tried to make the Untied States happy with it or allowed itself to be pulled around on the issue.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U.S. side asked that the official government announcement and the disclosure of the agreement document be linked. This explains why the government has not shown the agreement to the Korean people. It makes sense that during the additional round of talks the United States would set as a precondition of sorts a demand that the formal announcement about resuming imports be done early on, because by doing so it would be able to have its beef enter the Korean market again without further losses or concessions.

Why does our government exist, and for whom? It simply must put the Korean public’s interests first, giving consideration to which parts should be bought and which shouldn’t, and when beef should be purchased again by the people. It should go without saying that it needs to gain the people’s consent in the course of doing that. How can people trust in a government that is most desperate about satisfying the United States, without going through this kind of process and without an adequate attempt to convince the public it is doing the right thing? It would have to be more than a little serious for calls to delay announcing the resumption of imports coming even from within the president’s own ruling party. One worries about the future of this government.

어느 나라 국민을 위한 고시 강행인가

대다수 국민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미국산 쇠고기 수입 고시를 강행하는 것을 보면서 이 정부가 도대체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지 심각한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다.

추가 협상을 통해 30개월 이상 쇠고기를 들여오지 못하도록 하고, 30개월 미만의 뇌·눈·척수·머리뼈 등 네 부위의 광우병 위험물질도 수입하지 않기로 했다지만, 국민 대다수는 미국 수출업체의 자율 규제로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이 확보된다고 생각지 않고 있다. 과거 미국 정부가 보증하는 수출증명 프로그램이 작동되던 때도 미국산 쇠고기 수입 건수의 50% 이상에서 뼛조각이 적발된 적이 있는데, 정부의 개입 정도가 훨씬 약한 민간의 자율 규제를 어떻게 믿을 수 있겠는가. 더구나 30개월 미만의 내장과 등뼈 등 위험물질이 쏟아져 들어오게 된다.

따라서 고시를 연기하고 전면 재협상해야 한다는 게 다수 여론인 것은 당연하다. 이처럼 국민이 여전히 불안해하는데도 눈 가리고 아웅 하는 식의 추가 협상을 내세워 미국산 쇠고기를 들여오겠다는 것은 독재적인 발상이자 국민에 대한 정면 도전이다.

추가 협상 직후에 고시를 서두르지 않겠다고 한 방침을 바꿔 느닷없이 고시 게재를 강행하게 된 과정을 살펴보면, 이 역시 우리 국민을 먼저 고려하기보다는 미국의 비위를 맞추거나 끌려다닌 흔적이 역력하다. 곧, 추가 협상 때 미국 쪽이 고시와 합의문 공개를 연계할 것을 요청하고, 우리가 이를 받아들였던 사실이 드러났다. 그동안 합의문을 국민에게 공개하지 못했던 이유가 여기에 있었던 셈이다. 추가 협상을 하면서 미국이 조속한 고시를 일종의 전제조건으로 우리에게 요구한 것은 미국 쪽으로서는 맞는 계산이다. 그래야, 더 양보나 손해 없이 미국산 쇠고기를 하루빨리 한국 시장에 진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왜, 누굴 위해 있는가. 쇠고기의 어떤 부위를 사야 할지 말아야 할지, 또 산다면 언제부터 하는 게 좋을지는 당연히 우리 국민의 이익을 고려해서 결정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국민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런 절차나 충분한 설득 노력도 없이, 미국을 만족시키는 데만 급급한 정부를 어떻게 신뢰할 수 있겠는가. 오죽하면 고시 강행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여당에서도 터져 나오겠는가. 이 정부의 앞날이 걱정될 뿐이다.

[한겨레 사설 6/25]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