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년 출범당시 30억원 자본
94년 출범당시 30억원 자본
  • 한경훈 기자
  • 승인 2004.09.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말 11억2백만원 남아

제주교역의 이번 ‘감자’ 결의무산을 계기로 회사 진로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현 제주교역의 재무사정상 ‘감자’를 통해 클린(clean)회사를 만든 후 투자(증자)를 끌어들여 소생하든 아니면 회사간판을 내리든 양자택일 밖에 없어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주간 ‘감자’가 우선이라는 입장과 ‘경영에 대한 책임추궁’이 먼저라는 입장이 팽팽해 의견접근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제주교역의 자본잠식은 현재 심각한 상태다. 94년 12월 출범 당시 30억원이던 제주교역의 자본총계는 2003년 말 현재 11억2백만원에 불과, 사업시작 10년만에 이익은 고사하고 3분의 2 가까이를 까먹었다.
이러한 부실의 가장 큰 요인으로 운영재원에 있어서 오렌지 수입대행료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 던 점을 들 수 있다.

실제로 오렌지 수입대행료가 끊긴 지난 2002년부터 제주교역의 부실은 심화됐다. 2002년 제주역의 자본총계는 28억1200만원으로 회사설립 후 처음으로 당초 자본금 30억원을 밑돌았다.
그러나 이에 더해 경영진의 방만한 경영도 간과할 수 없는 부실의 요인임은 부정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주주들 사이에서는 ‘감자’보다는 경영책임론이 우선이라는 여론이 팽배한 실정이다. 이는 또한 향후 예상되는 ‘감자’ 건 상정.의결에도 상당한 장애로 작용할 전망이다.

17일 임시주주총회에서 K모 전 제주교역 사장은 “회사 부실이 이 지경에 이르기까지 집행부나 감사는 제대로 역할을 했는지, 또한 연대해서 책임질 부분은 없는 지 따진 연후에 감자 결의가 순서”라고 주장했다.
S모 생산자단체장도 “구상권 청구 등 민사상책임추궁이 선행돼야 하고, 또한 새로운 집행부를 구성, 정밀한 자산평가를 거친 후 감자 결의가 마땅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감자’를 통해 현재의 누적 결손금을 제거, 재무구조를 견실화하는 조치가 우선이라는 입장도 만만치 않다. 결손금을 털어내야 각종 금융거래 및 증자가 용이하고 또한 증자된 자금을 사업에 바로 투입할 수 있다는 논리다.
더욱이 제주교역 주주들, 특히 대주주인 시.군(23.3%) 및 농.수협 등 생산자단체(51%)들이 그동안 부실경영에 대한 책임 등 회사경영에 ‘나몰라라’ 식으로 대처해오다 정작 ‘감자’를 통한 회사소생에는 발목을 잡고 있다는 불만이 개인주주들을 중심으로 나오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