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ㆍ양돈농협, 연말까지 50억 투입해 시설 완공
감귤과즙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찌꺼기(감귤박)를 활용해 돼지 사료를 만드는 공장이 연말께 가동될 전망이어서 가뜩이나 사료값 폭등에 시름하는 양돈농가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1일 제주도 (축정과)에 따르면 제주양돈농협은 지난해 12월 제주시 한림읍 금릉농공단지 내 3만4천㎡ 부지에 1일 감귤찌꺼기 배합사료 300t을 생산할 수 있는 사료공장 시설공사에 들어가 11월까지 모두 50억원(국비 20억, 지방비 20억, 양돈농협 등 자기부담 10억원)을 들여 완공할 예정이다.
양돈농협은 이 사료가 본격 생산되면 조합원 등 농가에 일반 배합사료보다 저렴하게 공급해 도내에서만 하루에 474t이나 공급되는 양돈용 배합사료를 63% 가량 대체할 방침이다.
감귤찌꺼기에다 옥수수와 대두 가루 등을 첨가한 이 배합사료를 돼지에 먹인 결과 등지방 두께가 일반 돼지와 흑돼지에 비해 12∼23% 얇았으며, 고기의 성분중 단백질과 아미노산, 비타민 B1.B2 함량이 높고 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은 낮게 나타나는 등 기능성이 탁월한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또한 소비자들은 맛이 쫄깃쫄깃하고 고소할뿐 아니라 색다른 향이 난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제주에서 감귤찌꺼기 사료로 생산된 돼지고지의 브랜드는 '귤 먹은 도새기(MANDARIN PORK)'로, 캐릭터는 '돈비'로 명명돼 특허청에 상표 등록된 상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