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제주축산농가 대응책 의견 접수결과, 예산드는 것뿐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개에 따른 제주특별자치도 차원의 대응책 관련해, 한우 송아지 생산단지 조성사업의 지원액 현실화 및 생산비 소득보전 직불제 시행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하지만 대부분 예산을 지원해달라는 것이어서 도가 골머리를 앓게 됐다. 6일 제주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4월27일부터 이달 2일까지 생산자단체, 학계, 연구기관 등 의견수렴을 한 결과 33건의 의견을 수렴했다.
이같은 의견수렴은 도 (축정과)가 수입재개에 대비한 ‘축종별 강화대책(안)’을 수립, 김태환 도지사 주재로 생산자 단체 대표 및 축산농가들이 참석한 긴급 간담회 및 도의회 간담회를 거쳐 지난 4월27일부터 이달 2일까지 생산자 단체, 학계, 연구기관 등의 의견수렴 결과에서 나타났다.
수렴된 내용을 보면 송아지 생산기지 조성사업비 단가를 현실화하고 거세비용을 지원해달라는 의견이 제시됐다. 또 한우 비육우의 육지부 출하 유통비 지원 및 교잡우를 수매하고, 쇠고기 수입관세를 목적세화해 한우산업 및 사료값 안정대책을 마련해줄 것도 요구됐다.
한우 송아지 및 비육우에 대한 생산비 소득보전 직불제 시행도 건의됐다. 또 보들결 제주한우 브랜드육 지원, 제주흑우 육성을 위한 제주흑우 명품관 개설 등 축산농가에 대한 지원 확대와 제도개선을 요구하는 의견도 접수됐다. 모두 국비나 지방비에 의한 예산지원 없이는 이룰 수 없는 것들이다.
제주도는 앞으로 축산업경쟁력 강화 추진단TF팀을 구성해 상설 운영하고, 농림수산식품부의 축산업 발전대책과 간담회, 도의회 주문사항, 농가 의견수렴 결과를 심도있게 검토해 이달 10일까지 '축산업경쟁력 강화 종합대책'을 마련해 발표키로 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