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vernment of the rich
Government of the rich
  • 제주타임스
  • 승인 2008.04.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High-ranking officials in President Lee Myung-bak’s administration disclosed their assets in a report released on April 24, revealing again that the rumors that the government consists mainly of people who own multiple properties in the Gangnam area are not baseless. The average value of the assets held by the Cabinet ministers is approximately 3.1 billion won, while that of the 10 highest-ranking officials in the presidential office of Cheong Wa Dae, or the Blue House, including Lee’s chief of staff, is about 3.5 billion won. These minister- and vice minister-level officials have properties in the so-called “bubble seven” areas of metropolitan, which indicate districts of Gangnam, Seocho, Songpa, Mokdong, Bundang, Pyeongchon and Yongin.

  It is true that it can’t be deemed a sin to have a lot of money, even more so in a capitalistic society in which high-ranking officials can be selected primarily for their “abilities.” Apart from this, however, is the fact that these officials are part of the two percent of the population that must pay a comprehensive property tax calculated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ir holdings. This shows just where Lee’s lineup is coming from.

  It is natural for people to worry about how a government composed of wealthy people can listen properly to the underprivileged members of the society. Rep. Lee Han-koo, the ruling Grand National Party’s chief policymaker, recently criticized the government, saying they have not made any policies for the working class,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and the needy. The government has been swift to abolish regulations and reduce taxes for large companies and rich people, while being slow to make policies for the middle class. This is probably something connected to the amount of wealth held by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A considerable number of the Cheong Wa Dae officials who disclosed their assets have been suspected of involvement in speculation and this should be thoroughly clarified. Park Mi-seok, the senior secretary for social policy, purchased farmland in Yeongjongdo under the name of her husband and Kwak Seung-jun, the senior secretary for national policy planning, bought a plot of land in a greenbelt district near Pangyo in 1983 when he was a university student. Presidential spokesperson Lee Dong-kwan was also found to be the owner of agricultural land in Gangwon Province.

  When Park purchased the Yeongjongdo land, the area was swept by development fever, and land prices have more than doubled since then. Park insists that her land purchase was not a speculative investment, but few people trust her remarks. Park was under pressure to resign due to allegations of plagiarism and a controversy over her lack of professionalism when she was appointed as a senior secretary. Now that allegations that she engaged in real-estate speculation have broken, we will have to see whether President Lee will continue to protect her.

부동산으로 돈 번 ‘부자 정부’가 서민 아픔 알 수 있나

  어제 공개된 이명박 정부 고위공직자들의 재산공개 내용을 보면, 시중에 나도는 ‘강부자(강남·부동산·부자) 정부’라는 말이 허튼얘기가 아니란 생각이 다시 든다. 총리·장관들의 평균 재산이 31억원이고, 류우익 실장을 비롯한 대통령실 고위공직자 10명의 평균 재산은 35억원이다. 청와대 장·차관급 10명은 모두 집값이 많이 오른 이른바 ‘버블세븐’ 지역에 부동산이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 많은 게 죄일 수 없고, 고위공직자 발탁 기준은 능력이 우선이어야 한다는 설명은 일리가 있다. 하지만 능력 여부는 차치하고라도, 청와대 고위공직자 10명 모두 전체 가구의 2%만 내는 종합부동산세 납부 대상자란 사실은 이명박 정부의 인적 구성이 너무 한쪽으로 치우쳐있음을 드러내는 상징적 징표다.

그렇게 부자들로만 이뤄진 정부가 우리 사회 서민과 약자들의 목소리에 제대로 귀를 귀울이겠느냐는 걱정이 드는 건 당연하다. 최근 이한구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은 “중산층 이하 서민들과 중소기업, 취약계층과 관련한 정책이 나오지 않고 있다”고 정부를 비판했다. 대기업·부유층을 위한 규제 철폐와 감세 정책에선 그토록 기민하게 움직이는 정부가 중산층·서민을 위한 정책 마련에선 굼뜬 게 고위공직자들의 재산 규모와 전혀 무관하다고 할 수 있을까.

  이번에 재산을 공개한 청와대 고위공직자 가운데 상당수가 투기 의혹을 받고 있는 점도 철저히 규명되어야 한다. 박미석 사회정책수석은 2002년 배우자 명의로 영종도 농지를 구입했고, 곽승준 국정기획수석은 대학생 시절인 1983년 부모의 돈으로 판교 새도시 부근의 그린벨트에 있는 땅을 샀다. 이동관 대변인도 강원도에 절대농지를 보유하고 있는 사실이 공개됐다.

 특히 박미석 수석이 영종도 땅을 매입할 당시는 이 일대에 개발 열기가 넘쳐나던 시기였다. 지금 그 땅의 가격은 공시지가로만 두 배 이상 뛰었다. 박 수석은 “투기와 전혀 관련이 없다”고 주장하지만 그 말을 쉽게 믿을 국민은 별로 없을 것이다. 박씨는 사회정책수석으로 발탁될 때부터 논문표절 의혹과 전문성 부족 논란에 휩싸여 거센 사퇴 압력을 받았던 인물이다. 여기에 구체적인 투기 의혹까지 더해졌는데도 이명박 대통령이 그를 계속 감싸줄 것인지 두고 볼 일이다.

[한겨레 사설 4.24]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