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3개 선거구에 출마한 국회의원선거 후보자들이 가장 많이 제시한 정책과제는 제주특별자치도 완성과 국제자유도시 건설인 것으로 분석됐다.
제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제18대 총선에 출마한 후보자들이 제출한 의정활동 매니페스토와 의정활동계획서, 제주현안 공개질의서(5명 미제출)를 분석한 결과를 3일 발표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후보자들은 제주특별자치도 고도의 지방분권과 국제자유도시 건설관련 각종 제도개선 등을 가장 많이 제시했다.
또 FTA와 관련한 1차산업 육성대책, 제2공항 건설, 4·3문제 완전해결도 우선 순위에 꼽혔다.
이와 함께 후보자들이 제주도선관위에 제출한 우선순위 5대공약 75건을 10대 분야로 분류한 결과 경제분야 공약이 46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사회복지 분야 10건, 평화분야 8건, 교육분야 7건, 행정분야 3건 등이다.
문화(1건)와 환경(없음)분야는 거의 제시되지 않았다.
입법활동에 있어 8명의 후보가 제주도특별법 개정의 필요성을 제기했으며 지역유통산업균형발전 특별법 제정(4명)과 FTA에 따른 농어촌 보호 특별법 제정(3명)이 뒤를 이었다.
후보들이 당선시 예상되는 임기내 의정활동비는 1억8000만원~6억원으로 평균 4억50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산 확보는 후원금을 통해 조달하겠다고 응답했다.
제주경실련은 “전반적으로 의정활동계획이 충실하게 작성돼 있고 후보자별 추구하려는 목적에 따라 달성하려는 정책과제들이 분명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일부는 구체성이 다소 떨어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정책과제는 정부협력형, 서민중심형, 중도형 등으로 극명하게 구별되고 있어 누가 당선되느냐에 따라 추진되는 제주현안과제 해결방향도 큰 차이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