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신동아영어조합법인(대표 김영태), 제주대 해양과학대과 등과 업무 협약을 체결, 참다랑어 육상양식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참다랑어는 현재 일본에서 해상 가두리시설을 이용해 양식되고 있지만 육상 양식은 전례가 없어 귀추가 주목된다.
일본은 1970년대 후반 참다랑어 양식기술 개발에 착수했는데 현재는 해상 가두리에서 연간 2000t의 양식 참다랑어를 생산하고 있다.
양식은 쓰시마 연근해에서 500g 정도의 치어를 잡은 뒤 3~5년간 사육, 50~70㎏까지 성장하면 출하하고 있다. 가격은 ㎏당 3000엔 정도로 어업인들이 큰 소득을 올리고 있다.
제주시는 최근 일본 나가사키현의 참다랑어 해상 가두리양식 실태를 조사했다. 그 결과 도내에서 참다랑어 육상양식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제주해역의 경우 참다랑어가 많이 출현하는 12월에서 다음해 5월까지 수온이 적정해 양식을 위한 치어 확보가 용이하다.
또 지하해수 수온도 섭씨 17도 정도여서 난류성 어종인 참다랑어 육상양식에 최적합지로 평가받고 있다고 시는 설명했다.
시는 이에 따라 민ㆍ학과 연계, 올해는 참다랑어 육상양식법 및 안정적 치어 확보를 위한 어구어법을 개발하고, 내년부터 참다랑어 육상양식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제주시 관계자는 “넙치 육상양식 위주로 편중돼 있는 도내 양식업의 새로운 활로 모색을 위해 참다랑어 육상양식을 추진하게 됐다”며 “전문적인 양식기술이 개발되면 어민소득 증대에 획기적 전기가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