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 item on the agenda that appears without fail on the main floor of the National Assembly towards the end of each of the last few years has been bills to extend the time Korean troops are in Iraq. Around October, the president “informs” the country that they will be there longer, and then the National Assembly procrastinates until right before the year is out before building it up with a bunch of other bills and suddenly voting to approve all of them at the same time. This year the government is going so far as to renege on its promise that the mission would be over by now. It has no regard for what the Korean people think.
At this point it feels futile to argue about what’s wrong with having troops in Iraq. Government officials say that the significance of keeping them there is that it maintains ties with a certain number of allies to the United States there. In other words, it is about helping the United States save face, since most countries have withdrawn or are withdrawing their troops. What have we gained from this? Nothing at all. All we have is the vague hope that it will help in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If Korea needs to keep soldiers in Iraq because of the U.S.-Korea alliance, that does not explain why other American allies are withdrawing theirs. And as seen in the recent threat by the Iraqi government to cut off oil from Korean companies, the claim that staying longer in Iraq will mean greater business opportunities there is also false.
In the meantime, Korea has lost much while in Iraq. We have already lost public favor in the Middle East. Big incidents like the kidnapping of Koreans in Afghanistan and the killing of Kim Seon-il in Iraq all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sending of Korean troops to the region. The Middle East is a strategic region from where most of Korea’s oil comes. It is a major loss to the national interest to be giving Korea and Koreans a bad image. A reputation as “the country that participated in the United States’ illegal invasion and occupation of Iraq until the very end” will of course hurt what Korean diplomacy has to work with in the area. Korea may be the world’s 13th largest economy, but when it comes to international politics we are going to remain small.
Why is it that our country is unable to engage in a foreign policy that is honorable and oriented towards the future - and instead sticks with a dated and distorted framework? It is self-contemptuous to think that you have no choice. Instead, the right way to think about the situation would be to believe that withdrawing Korean troops from Iraq could change bad American Iraq policy. It is time for the National Assembly to decide. Members of the United New Democratic Party and Democratic Labor Party need to maintain their previous line and oppose an extension, and members of the Grand National Party, for their part, need to demonstrate the kind of responsibility becoming of a new kind of conservatism.
이라크 파병연장 동의안 부결시켜야
지난 몇 해 동안 연말이면 어김없이 국회 본회의에 상정되는 안건이 자이툰 부대 이라크 파병연장 동의안이다. 대통령은 10월께 파병연장 방침을 국민에게 ‘통고’하고, 이후 국회는 미적대다가 연말에 다른 안건과 함께 전격적으로 동의안을 처리한다. 특히 올해는 정부가 임무종결 약속까지 어기고 파병 연장을 강행하고 있다. 국민은 안중에도 없는 행태다.
이제는 파병연장을 놓고 시시비비를 가리는 일조차 식상하다. 정부 핵심 관계자들도 ‘결국 미국에 파병 동맹국 수를 유지해준다는 의미’라고 말한다. 대부분 나라가 이라크에서 철군했거나 철군 중인 상황에서 그나마 자이툰 부대라도 현지에 있어줘야 미국 체면이 유지된다는 얘기다. 그래서 우리가 얻는 것은 뭘까? 아무것도 없다. 북한 핵문제를 푸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기대가 있을 뿐이다. 한-미 동맹을 유지하기 위해 파병연장이 필요하다고 한다면, 왜 미국의 다른 동맹국은 철군하는지 설명이 되지 않는다. 최근 이라크 정부가 우리 기업에 원유 수출 중단을 위협한 데서 알 수 있듯이, 파병연장이 이라크내 사업 기회 확대로 이어진다는 주장도 허구다.
반면 잃는 것은 많다. 이미 중동 지역의 민심을 잃었다. 아프가니스탄 한국인 피랍사태와 김선일씨 살해 사건 등 지난 몇 해 동안 중동에서 일어난 굵직굵직한 사안들이 모두 파병과 직간접으로 연관돼 있다. 중동은 우리나라가 석유의 대부분을 수입하는 전략지역이다. 이런 곳에서 한국과 한국인의 이미지가 부정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은 엄청난 국익 손실이다. ‘미국의 불법적인 이라크 침공과 점령에 끝까지 동참한 나라’라는 평판이 한국 외교의 토대를 취약하게 만드는 것은 물론이다. 이래서는 아무리 경제적으로 세계 13위권이라 하더라도 국제정치에선 난쟁이로 남게 된다.
우리나라는 왜 떳떳하고 미래지향적인 대외정책을 펴지 못하고 낡고 왜곡된 틀 속에 머물러야 하는가. 그럴수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것은 스스로에 대한 모욕이다. 그보다는 자이툰 부대가 철군함으로써 미국의 잘못된 이라크 정책이 바뀔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바른 길이다. 이제 국회가 판단할 때다.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노동당 의원들은 기존의 파병연장 반대 당론을 분명하게 지키고, 한나라당 의원들 또한 새로운 보수에 걸맞은 책임있는 모습을 보이길 바란다.
[한겨레사설 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