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들에 대한 일선 영농지도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체계가 이원화 되면서 농민들이 곳곳에서 불편을 겪고 있다.
시.군에 편입돼 읍.면을 통해 농촌 현장의 영농지도 활동을 해 온 농업기술센터가 제주특별자치도 출범과 함께 제주도(제주도농업기술원)에 편입되면서 일선 농민들이 영농상담 등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타결이후 대외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각종 영농기술 보급업무는 농업기술센터에서 이뤄지는 반면 FTA 경쟁력 강화사업에 따른 정책자금 등의 지원은 행정시가 집행, 업무 이원화에 따른 파열음이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상당수 농민들이 농업기술센터가 예전처럼 행정시로 편입돼 업무의 효율성을 도모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서귀포지역의 경우 감귤과 각종 아열대 신품종 과일에 대한 영농지도와 기술 보급업무는 서귀포농업기술센터가 담당하고 있다.
농업기술센터는 이와함께 농가의 경영비 절감과 고수익을 보장하기 위한 ‘경영컨설팅’업무도 맡고 있다.
반면 행정시인 서귀포시는 농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시설재배 지원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일사분란하게 이어져야 하는 이들 업무가 이원화 되면서 이 과정에서 크고 작은 문제들이 잇따르고 있는 것이다.
종전 농작물 재배지역에서 ‘이상 현상’이 발생했을 경우 행정시의 말단조직인 읍·면·동으로 신고가 접수돼 농기센터로 상황이 전파돼 현장조사로 이어지는 유기적 협조체제가 유지됐으나 현재는 이같은 모습이 자취를 감췄다.
농업기술센터가 제주도에 편입된 뒤 행정시 관계자들 뿐만 아니라 일선 읍·면·동 직원들 역시 농업기술센터를 ‘상급기관’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굳어지면서 양 기관간 거리감에 생기고 있는 것이다.
이와관련, 제주도 관계자는 “농업기술센터와 행정시가 유기적인 관계를 가져야 하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라며 “지방자치법상 농업기술센터의 경우 자치권이 없는 행정시 소속으로 둘 수 없어 불가피 하게 농업기술원에 편입시켰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앞으로 농업기술센터의 현장 업무를 강화하기 위해 현재 2개인 농업기술센터를 제주시와 서귀포시 및 동·서부 권역 등으로 나누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