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제주전역을 휩쓴 태풍 ‘나리’ 피해는 태풍이라는 기상학적인 요인과 인위적 난개발이 어울어져 피해가 커졌다는 의견이 나왔다.
김지태 국립방재연구소 방재정보분석센터장은 6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기상청과 소방방재청이 공동으로 개최한 ‘태풍예보와 재해에 관한 워크숍’에서 ‘제11호 태풍 나리 피해현장 조사’라는 제목의 주제발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김 센터장은 “태풍 나리는 1000년에 한번 발생할 정도(1000년 빈도)로 많은 강수량을 동반, 제주를 강타했다”며 “이 과정에서 하천복개로 통수단면이 줄어든데다 급류에 휩쓸려온 나무등 잡물과 자동차 등이 하천내 물 흐름을 가로막아 피해를 키웠다”고 말했다
김 센터장은“특히 곶자왈․오름 등 자연적으로 형성된 저류 및 물 침투지역이 각종 개발로 훼손 된데다 도심 팽창, 도로 등 포장율 증가, 상류부 개발 등 난개발 역시 피해를 키운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김 센터장은 이에 따라 “앞으로 하천 복개를 금지하는 한편 개발행위 규제를 통해 곶자왈(숨골), 봉천수, 오름 등 제주지역 자연·문화적 특성을 보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기상청과 소방방재청의 공동 워크숍에는 김 센터장을 비롯해 국내외 대학과 연구소에서 태풍과 방제관련 전문가들이 나서 태풍예보와 재해에 관한 토론을 벌였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