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용차와 증가하고 대리운전업이 성행하면서 경영고전을 면치 못하는 택시업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업체의 대형화와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한국교통연구원은 3일 제주도가 의뢰한 ‘제주특별자치도 택시발전방안’중간 보고서를 통해 제주지역 택시업체의 영세화로 운전자와 재무관리 등 경영기반이 근복적으로 취약, 업체 통.폐합 등 구조조정을 통한 건실 업체 육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제주지역 택시업계 평균 보유대수를 현재 45대에서 60대 이상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서비사 평가 등 업체관리를 통해 부실업체를 퇴출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총량산정 주기를 현행 5년에서 3년으로 단축하고 총량조사 검증을 제도화하는 등 총량제를 엄격하게 도입해 한시적으로 신규공급을 중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과잉공급하의 신규증차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정부매입 구조조정(감차) 및 일정분 증차 연계 ▲면허취소분을 신규증차하는 총량풀제 적용 ▲법인자율감차분 신규개인 전환 등을 제안했다.
특히 관공서, 기업체 등의 업무용 차량수요를 택시로 대체해 활용하는 업무용 택시(Biz Call)와 관광객 이용편의 증진과 제주관광지 특성을 살린 관광브랜드 택시(Tour Taxi) 도입방안을 내놓았다.
또 현행 교통오지 등 교통취약지 버스운행 대체 및 보완, 노약자?장애인 전용 공공수단 활성화를 위한 복지택시 도입 방안도 함께 주문했다..
이와 함께 승용차 주차문제 해소와 매출이익 증대,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교통 지원 대책으로 일반 시민용과 노인?장애인 등으로 구분한 택시이용 쿠폰제 도입 필요성도 제시했다.
제주도는 내년 1월 연구용역이 마무리 되는대로 택시조합 및 개인택시 조합, 택시노련 등 관련단체의 의견을 추가로 수렴한 뒤 제주특별자치도에 걸맞는 택시의 기능과 역할을 정립하고 도전체의 교통정책 차원에서 교통수요를 관리할 수 있는 택시정책의 목표와 방향을 설정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올해 6월말 현재 제주지역 택시등록 대수는 일반 법인택시 1526대, 개인택시 2868대 등 5394대에 이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