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구매, '안마시술소서' 가장 많아
성구매, '안마시술소서' 가장 많아
  • 김광호
  • 승인 2007.11.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종전 '인터넷 채팅' 앞질러…'음주상태 성매수' 압도
성구매 경로가 종전 인터넷 채팅에서 안마시술소로 바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부분 음주상태에서 성을 매수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안마시술소와 성구매, 그리고 음주와 성구매 간에 상당한 연관 관계가 있음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20일 법무부는 성매매방지법 시행 3년을 맞아 성구매자의 특성과 성구매자 재범방지교육, 즉 존-스쿨의 효과성 등에 대한 분석서를 내 놨다. 분석서는 2006년 전국 22개 보호관찰(지)소에서 존.스쿨 프로그램을 수료한 제주지역 77명을 포함한 1만1216명의 설문지 중 1295건을 무작위 추출해 작성됐다.

역시 가장 눈길을 끄는 부분은 전국 성구매자의 적발 경로이다. 2005년에는 인터넷 채팅 40.4%, 안마시술소 19.7%, 유흥주점 10.1%, 퇴폐이발소 8.9%로, 인터넷 채팅을 이용한 성매수가 압도했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인터넷 채팅은 17.1%로 뚝 떨어지고, 안마시술소가 36.8%로 급부상했다. 또. 유흥주점이 밀려나고 퇴폐이발소(11.2%)가 3위에 포함됐다.

성구매 당시의 음주상태도 분석 대상자의 73.5%로, 대부분 술을 마시고 성을 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지역 보호관찰소별 분석 결과는 발표되지 않아 제주지역 성구매자의 적발 경로 등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법무부는 “특히 적발 경로에서 전통적 성구매 지역인 집장촌의 비율이 2005년 7.3%와 유사한 8.0%에 그쳤다”며 “성매매알선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시행 이후 변화된 성구매 형태의 사회적 현상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법무부는 존-스쿨 교육 후 성매매가 당사자 및 그 가족과 사회 전체에 미치는 악영향, 향후 가담의지 등을 측정한 모두 50개 문항 중 48개 항목에서 성구매자들의 긍정적인 인식전환이 이뤄진 것으로 검증됐다고 밝혔다.

* ‘존-스쿨’이란
성구매 혐의로 체포된 남성 대부분이 자신의 이름을 존(John)이라고 밝힌 데서 유래했다. 샌프란시스코의 시민단체 세이지(SAGE)가 1995년 성매매 재발 예방 프로그램을 만들어 ‘존-스쿨’로 이름을 붙였다.

우리나라는 2005년 8월 서울보호관찰소에서 처음 도입한 뒤 현재 전국 보호관찰소에서 실시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