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산 보통온주감귤 출하기 시작된 이후 가격하락으로 농민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감귤 주산지인 서귀포지역에서 불량감귤 유통행위가 크게 늘고 있다.
비상품 감귤을 유통하다 공식으로 단속된 건수만 하더라도 벌써 작년 단속건수 보다 갑절이상 많은 것으로 드러나 감귤 주산지 이미지를 먹칠하고 있다.
비상품 유통중 단속반에 적발되지 않은 경우까지 포함할 경우 비상품 감귤유통이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돼 생산농가와 중간 유통업자 등의 각성이 절실한 형편이다.
결과적으로 일부 몰지각한 생산농가와 '목전의 작은 이익'에 눈이 먼 일부 중간유통업자들이 농간에 선량한 농민들까지 덤터기를 쓰고 있는 것이다.
서귀포시는 지난달 15일 올해산 노지감귤이 첫 출하된 이후 이달 15일까지 1개월만에 75건의 비상품 유통 행위를 적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30건보다 150%가 늘어난 것이다.
단속반에 적발된 유형은 비상품 출하가 58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이어 강제착색 10건, 품질검사 미이행 7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황이 이처럼 악화되면서 최근 전국 대도시 도매시장 평균 감귤경락가격은 10kg 들이 한 상자에 7000~8000원선을 겨우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보다 20~30% 낮은 시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서귀포시는 ‘감귤 값 4년 연속 제값받기’를 위해 감귤 유통 단속 및 판촉을 통한 서귀포감귤 이미지 제고 및 상품성 향상에 나설 계획이다.
서귀포시의 이 같은 정책이 제대로 효과를 내기위해서는 우선 지역내 불량감귤 유통행위부터 근절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