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공 '땅장사로 나섰나'
주공 '땅장사로 나섰나'
  • 임창준
  • 승인 2007.10.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형택지개발로 166억원 개발이익 챙겨
조성원가보다 무려 70% 높게 분양가 책정
국감자료 분석결과…서민 '내집 꿈' 멀어져

주택공사가 제주시 노형택지개발사업으로 166억원의 개발이익을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주택공사가 조성원가보다 70%나 높게 분양가격을 매겨 판 것으로 드러나 결국 정부투자기관이 서민들의 내 집 마련 정책에 주력하기 보다는 주공 자체의 이득 챙기기에 급급했다는 지적이다.

31일 대한주택공사가 대한 국회 건설교통위 국정감사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주공은 최근 5년간 제주시 노형지구, 성남 판교, 파주 운정, 부산 정관 등 총 27개지구 총면적 297만㎡ 공동주택용지를 조성해 민간업체들에게 분양했다.

주공은 민간업체에 공동주택용지를 조성하면서 분양단가를 조성원가 보다 평균 38%이상 높게 책정해 땅장사로만 무려 1조 9백여억원의 개발이익을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제주시 노형 택지지구에서만도 166억3000만원이라는 엄청난 개발이익을 남겼다.

노형지구 면적은 6만5484㎡로 조성원가는 1㎡당 36만3171원(3.3㎡당 119만원). 그러나 주공은 민간업체에게는 이 땅을 1㎡당 61만7122원 (3.3㎡당 203만원)에 분양했다. 조성원가보다 분양원가를 69.93% 높게 책정한 것이다.

이에 따라 6만5484㎡ 노형지구 조성에는 237억8200만원이 들었으나, 주공은 분양금액으로 404억1200만원을 거둬들여 166억3000만원의 개발이익을 얻은 것이다.

주공이 조성원가보다 분양단가를 69.93%로 높게 책정한 것은 주공이 2003년 이후 개발한 27군데 공동주택용지 중 세 번째 높은 것이다.
가장 높은 곳은 안동 동동으로 조성원가의 118%, 대구 매천은 103% 높게 분양단가를 책정했다. 제주시 노형지구는 택지분양당시부터 분양단가가 지나치게 높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었다.

박승환 의원은 “서민주거안정을 위해 보다 저렴한 주택을 공급해야 할 주택공사가 땅장사로 내집마련이 꿈인 서민들의 주머니를 털어 제 배만 불려 왔던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비난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