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무 생산량 태풍 나리로 77% 줄어
올 겨울 김장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김장 배추와 무 재배 면적이 지난해보다 15~27%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농산물품질관리원(이하 농관원)에 따르면은 지난달 20일부터 이달 4일까지 전국 표본 농지 3만4074곳에서 ‘2007년 김장 배추.무 재배면적’을 조사한 결과, 배추와 무의 재배 면적이 각각 1만2178ha, 7162ha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만4368ha, 9758ha에 비해 각각 15.2%, 26.6% 줄어든 것이다.
지역별로는 배추의 경우 대전(-30.0%), 서울(-30.0%), 충북(-28.8%), 전북(-21.1%) 등의 감소율이 높았다.
무는 태풍 및 호우 피해가 컸던 제주가 77.0%나 줄어든 것을 비롯 서울(-52.4%), 대구(-43.3%), 경남(-34.0%) 등에서 크게 줄었다.
농관원은 "작년의 배추. 무 가격이 낮았던 데다 올해 8~9월 중순 파종기 잦은 비로 생육 초기에 죽는 경우가 많아 재배 면적이 대폭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농수산물유통공사 자료에 따르면 상품 기준으로 김장 배추 값은 2005년 1㎏당 833원에서 2006년 320원으로 61.6% 떨어졌고, 김장 무 역시 713원에서 315원으로 55.8% 급락했다.
이달초 농촌경제연구원은 '채소 관측 월보'에서 김장에 주로 이용되는 가을배추의 올해 재배면적이 작년보다 11%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잦은 호우로 생육까지 부진, 생산량은 작년보다 16%, 평년보다 3% 정도 적을 것으로 내다봤다. 가을무 역시 올해 재배면적이 작년 및 평년보다 각각 10%, 19% 축소되고 파종기에 비까지 겹쳐 생산량이 작년대비 약 15% 줄 것으로 관측했다.
농경연은 이에 따라 김장철인 오는 11~12월 배추와 무값이 작년이나 평년 동기 수준을 웃돌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