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연구원 "국제자유도시 추진위해 관심ㆍ노력 필수"
국제자유도시를 지향하는 제주도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지만 외국인에 대한 정책은 크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제주발전연구원이 발표한 ‘도내 외국인 심층조사 및 정책 수립 필요’라는 정책 제언에 따르면 제주도내 거주 외국인은 지난 2004년 1313명에서 올 6월 현재 3526명으로 3년새 268%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적별로는 중국 1726명으로 가장 많고 베트남 341명, 미국 218명, 일본 172명, 필리핀 142명, 인도네시아 119명, 몽골 92명, 캐나다 88명 등이다.
자격별로는 배우자 846명, 산업연수 532명, 회화지도 235명, 연수취업 217명, 비전문취업 214명 등 결혼과 취업으로 인한 체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 같은 외국인 증가추세는 국제자유도시 추진과정을 놓고 볼때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제주도인 경우 ‘외국인 근로자 수급대책’ 정도에 머무르고 있어 외국인력 정책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기 위한 행정체계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또 거주외국인에 대한 기본계획수립에서 집행과정까지의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정책과 현안사항을 처리.집행할 수 있는 전담 총괄기구를 설립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를 위해 ▲외국인친화적인 생활공간 조성 ▲모든 분야에 걸친 국제화 정책프로그램 작성 ▲한국문화 적응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 운영 ▲외국인 근로자 보호 장치의 실효성 위한 사회적 협의체 구성 등을 제시했다.
제주발전연구원 관계자는 “외국인이 큰 어려움이 없이 적응하게 되면 지역의 국제화 전략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부작용이 커질 수 있다”면서 “제주가 국제자유도시를 지향하는 만큼 외국인에 대한 관심과 노력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