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 폐수 대책이 시급하다
축산 폐수 대책이 시급하다
  • 제주타임스
  • 승인 2004.08.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축산업은 보호돼야 한다. 관광산업에 치우친 산업의 연성화(軟性化)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하면, 그 필요성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제주의 환경을 해칠 이유는 되지 못한다. 축산업이 지하수 등 우리의 환경을 해치고 있다면, 그것은 별도로 검토돼야 한다.

환경으로 표현되는 자연은 한번 파괴되고 나면 되살려 내기가 쉽지 않다. 그 어떤 논리로도 그것은 설명이 되지 않는다.

철저한 단속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축산 폐수를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환경단체에 따르면 한 농가에서 불법 배출된 축산 폐수에서 BOD(생물학적산소요구량)가 기준치를 288배 초과할 정도로 심각하다고 한다. 축산 시설 밀집지역인 한림읍 중산간 지역은 2002년 41군데의 지하수 관정을 조사한 결과 질산성 질소가 음용수 수질기준을 초과한 관정이 8군데에 이르렀다고 한다.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밀한 실태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 발생 물량 대비 처리 실적 위주로 흐르는 소극적 대책으로는 오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우선 소규모 무허가 축산 농가의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 어쩔 수 없이 환경오염은 관리의 손길이 미치지 않은 곳에서 이뤄지기 마련이다.

그러나 근본적인 대책은 축산 폐수의 친환경 처리시설을 마련하는 것이다. 우리의 1차 산업도 재래의 비생산성 산업에서 벗어나 친환경적이며 기술집약형의 선진형 산업으로 육성해 나가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 점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물론 그 책임은 축산업을 영위하는 축산 농가에 있다. 그러나 친환경 시설의 모델을 개발하고 지원할 책임은 행정당국에 있다. 민원이 발생하면 마지못해 수동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행정당국이 앞서 문제점을 찾아내어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의지가 필요하다. 축산 폐수의 퇴비화 액비화 문제도 이와 다르지 않다.

‘청정 제주’는 우리가 지켜야 할 목표다. 그것의 훼손은 그 어떤 명분으로도 용납되지 않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