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따라 그동안 비상 복구작업에 전념해온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들의 경우 앞으로 일상적 업무와 함께 '감귤 열매솎기' 작업에 다시 투입된다.
김 지사는 이날 오전 기자회견에서 '도민에게 드리는 말씀'을 통해 "이번 수마가 남긴 상처가 너무나 커 외형적으로 비상행정 시스템을 일상으로 전환하더라도 사안별로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복구작업을 계속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태풍 '나리'는 기존의 통계를 무색케 하는 살인적인 폭우를 내렸지만 모든 것을 자연의 탓으로만 돌리지 않겠다"면서 "주민대피 예.경보 방송시설의 불안정, 피해신고 폭주시 119상황실의 상황처리 한계와 같은 문제점 등 기본적인 것부터 하나하나 짚고 넘어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하천 교량에 위험경보시스템을 설치해 경계수위에 도달할 때는 인근 주민의 사전대피는 물론 교통통제까지 가능하도록 위험지역 통제시스템을 개선하겠다"고 말하고, 강우빈도를 100년 이상으로 한 하천정비기본계획 개선, 저류시설 확대, 하천 직강화(直江化) 최소화 방안 마련 방침을 밝혔다.
그는 향후 항구복구대책과 관련, "중앙합동조사단이 피해액 3천만원, 복구액 5천만원 이상인 공공시설 366개소에 대한 현장조사를 완료했다"고 전하고 "피해 규모와 양태에 따라, 피해의 원인분석을 통해 '기본복원'과 '개선복원' 사업을 결정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하천범람을 가져와 수재를 일으킨 복개천 철거 문제에 대해서는 “중앙 건설 관계부처와 토목 전문가 등이 현재 이 문제를 갖고 진단을 벌이고 있는만큼 여기에서 진단 결론이 나는 것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철거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