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산남지역’ 인구 감소세가 좀처럼 진정되지 않고 있다.
지난해 제주특별자치도 출범과 함께 제주도가 도정의 핵심시책으로 산남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지역균형발전’을 요란하게 내세우고 있으나 산남을 등지는 주민들은 되레 늘고 있다.
특히 1960년대 주민수가 1만5000명에 육박했던 안덕면은 마침내 1만명이 붕괴되는 최악의 상황까지 맞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이후 제주도가 내세운 일부 도 본청 일부 부서의 산남이전 등 각종 ‘산남배려시책’에도 불구하고 인구이탈이 가속화되면서 산남 공동화가 심화되고 있다.
더욱이 종전 민선 시.군체제의 경우 단체장들이 직접 나서 ‘돌아오는 농어촌 운동’ 등의 명분을 내세워 인위적 인구 유입책을 시행하기도 했으나 시·군 통합후에는 이마저 중단돼 주민들의 탈 산남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서귀포시는 지난달 말 주민등록기준으로 한 인구수가 읍·면지역(옛 남군지역) 7만1318명과 동지역(옛 서귀포시지역)8만2638명 등 모두 15만3956명으로 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이 같은 인구수는 지난연말 읍·면지역 7만2325명과 동지역 8만2570명 등 모두 15만4895명 보다 939명이 줄어든 것이다.
9개월 새 1000명 가까운 인구가 빠진 것이다.
특히 올 들어 옛 남군지역인 읍·면 인구수가 1007명 줄어 산남 농어촌지역 공동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안덕면은 지난연말 1만253명에서 지난달 말 9976명으로 277명이 빠져 인구수 1망명시대가 붕괴되는 최악의 상황을 맞고 있다.
한편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한 지난해 7월1일 당시 산남지역 인구는 남군 7만2932명과 서귀포시 8만2780명 등 모두 15만5712명.
지역균형발전을 대표적 핵심시책의 하나로 내세우고 있는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된 지 산남인구가 되레 1761명 빠졌다.
산남지역에 인구유입이 동반되는 실질적인 사업들이 전개되지 않을 경우 상대적으로 교육·문화 여건이 양호한 제주시 지역으로 인구유출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