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는 미국산 쇠고기 대량 수입에 따른 농가들의 피해가 우려됨에 따라 한우농가들의 경영안정을 위한 중.단기 대축을 수립,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 7월 미국산 쇠고기 수입이 재개되면서 국내 한우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갈비 현재 수입이 되지 않고 있는 갈비에 대한 수입협상이 예정되면서 협상타결로 인한 더 큰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는 ▲소 위탁공영제 ▲소 인공수정사업 확대 ▲쇠고기 고급육생산 ▲쇠고기 생산이력 추적시스템 시범실시 ▲한우쇠고기 전문점 인증제 실시 ▲소 반입 계류시설 확충 ▲원산지 표시지도 단속 강화 등 모두 13개 사업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제주도는 공영목장 2개소를 조성, 소 위탁공영제를 추진해 생산비 45%를 절감하고, 소 인공수정사업을 확대(627kg→656kg)하는가 하면 고급육 생산도 44.5%에서 80%(1등급)로 늘릴 계획이다.
또 쇠고기 생산이력 추적시스템을 시범실시 한 후 내년 하반기부터 전면 실시하고 10월부터 한우 쇠고기 전문점 인증제(서귀포시축협 한우플라자 등 2개소)를 실시한다.
이와 함께 한.미 FTA 극복하고 축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기대책으로 제주흑우를 주품종으로 육성해 수입산과 차별화하고, 쇠고기 브랜드도 1개 광역브랜드로 통합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