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체당 ‘의연금’ 100만원이 고작
태풍 ‘나리’가 제주 전역에 많은 피해를 초래한 가운데 이번 태풍으로 큰 피해를 당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이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피해액 가운데 상당부분 국고 및 지방비 보조가 이뤄지고 있는 1차 산업분야와 달리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피해의 경우 국·지방비 보조가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태풍 ‘나리’의 내습으로 서귀포지역에서는 소상공인(근로자 10인 이하) 63개 업체가 23억7700만원의 피해를 입을 것을 비롯해 중소기업 9개 업체가 5억400만원의 피해를 당했다.
특히 서귀포지역 최대의 공업단지인 토평공업단지의 경우 전체 입주업체 42곳 가운데 22곳이 피해를 당해 공단전체가 전쟁터를 방불케 하고 있다.
그런데 이번 태풍 ‘나리’피해를 당한 소상공인 업체와 중소기업체의 경우 지방비 및 국고 등에서 지원되는 보조금은 한푼도 없다.
서귀포지역의 경우 이번 태풍 피해를 당한 업체에는 1곳에 100만원의 의연금 지원이 고작이다.
반면 농수축산업 등 1차산업의 경우 피해조사가 이뤄질 경우 국고와 지방비에서 상당액 보조금이 지원되는 것과 크게 대조를 이루고 있다.
결국 소상공인 업체와 중소기업의 경우 피해복구가 절대적으로 금융기관 융자에 의존해야 할 상황인데 상당수 기업체들의 경우 이미 저리정책자금 융자 등으로 ‘대출한계’상황에 이르러 추가 대출을 받지 못한 채 하늘만 원망하고 있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이와 관련, “소상공인 업체와 중소기업의 경우 태풍피해 지원에서 1찬산업 분야와 차별되는 것은 사실”이라며 “태풍피해를 당한 업체들이 최대한 금융기관에서 저리자금을 융자받을 수 있도록 행정력을 모아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근본적으로 1차산업 위주로 태풍피해 지원이 이뤄지고 있는 관련규정의 개정 등이 선결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