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11호 태풍 ‘나리’에 의한 제주지역의 피해 조사액이 불과 6시간만에 368억원이 증가하는 등으로 신뢰성에 문제가 제기되는 등으로 보다 체계적인 조사와 정확한 산정이 요구되고 있다. 제주도재난안전대책본부가 18일 오후 6시에 발표한 피해규모는 농작물 침수와 농경지 유실을 제외한 ▲공공시설 252건 225억4400만원 ▲사유시설 58억6800만원 등 총 284억1200만원이었다. 그러나 6시간 뒤인 19일 새벽 2시에 잠정집계, 발표한 피해액은 ▲공공시설 355건 546억1700만원 ▲사유시설 106억1400만원 등 총 652억3100만원이었다. 불과 6시간만에 368억원이 늘어난 것이다. 또한 20일 오전 1시 현재로는 도로 교량 80개소를 포함, 피해액은 총 889억5600만원으로 발표했다. 이같은 피해금액을 산정하는 과정에서 가장 먼저 이뤄져야할 도로와 교량 등 공공시설은 23개소 57억7900만원이었다가 나중에는 19개소 27억1300만원으로 감액, 수정되기도 했다. 또 상하수도 시설의 경우는 8개소 16억8700만원으로 발표됐다가 16개소 27억6600만원으로 늘려 발표됐다. 체육관과 제주시청 공공건물이 포함된 기타시설은 당초 137개소 98억7300만원에서 무려 72개소 84억3700만원이 늘었다. 주택파손은 58동에서 83동으로 증가했고, 비닐하우스 파손은 12㏊에서 23㏊로 증가했다. 반면 규모가 가늠하기 힘든 농경지 유실과 농작물 침수는 각각 420㏊와 1만3510㏊는 변동이 없었다. 태풍 피해를 입은 모 제조업체 김 모 전무는 “도 방재부서에서 전화를 걸어와 피해액이 얼마정도 되느냐는 질의에 2억원쯤 된다고 답하니 그대로 올리는 것 같았다”고 말했다. 김 전무는 “피해액이 확실하지 않는데도 도 당국에서 대충 말하라고 해 대충대충 이야기 했다”며 “이런 부정확한 피해금액들이 산정 합산되면 전체 태풍 피해액에 신빙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제주도재난안전대책본부는 “담당공무원들이 낮 시간에 조사한 결과를 저녁에 귀청한 후 보고하다보면 시간차이에 의해 피해액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 태풍 피해액 산정에 어느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지만 불과 몇 시간 만에 피해규모가 갑절 이상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은 보다 정확하고 체계적인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음을 반증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