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수심 65m-둘레 2km '움푹 팬 팽이형태'
국립해양조사원, "해저 분화구 추정 특이지형"
국립해양조사원, "해저 분화구 추정 특이지형"
서귀포시 표선앞바다에서 백록담 분화구와 흡사한 모양의 해저분화구로 추정되는 해저 특이지형이 발견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립해양조사원(원장 연영진)은 지난 6월 제주도 남부 해역에서 항해위험물 정밀조사를 벌이던 중 표선포구 남동쪽 4.1km 해저에서 특히 지형을 발견했다고 6일 밝혔다.
국립해양조사원이 발견한 이 해저지형은 수심 최대 64m, 남북 길이 700m, 동서 길이 550m, 둘레 약 2km로서 한라산 백록담과 비슷한 크기인 해저분화구로 추정되고 있다.
국립해양조사원이 발견한 이곳은 해도상에 ‘신중근’으로 표시된 해역으로 이 일대 평균 수심은 10.3m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립해양조사원은 팽이형태로 움푹 파인 모양새를 나타내고 있는 이 해저지형이 해저분화구로 판명될 경우 이는 국내 첫 해저지형으로 기록된다.
국립해양조사원은 이곳에 대한 퇴적층 조사 등 정밀조사가 이뤄질 경우 제주도의 생성기원과 함께 우리나라 해양지질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국립해양조사원은 이달 중 해양지질, 해양측량, 해양물리분야의 교수 및 전문가를 초청해 이번에 발견된 해저지형에 대한 공동 심층조사방안 등을 강구하는 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이다.
국립해양조사원은 또 이 해저지형에 대한 정밀조사 방안을 조속히 수립, 심층분석 후 그 결과를 국내·외 관련학계에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