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ay before yesterday was the final day of Hyundai Group chairman Chung Mong-koo’s appeal of a three-year sentence given to him for embezzling hundreds of billions of won. Yesterday was the final hearing on the appeal of Hanwha Group chairman Kim Seung-youn on his 18-month sentence for assault. Their sentencing dates are September 6 and 11 respectively, but it is doubtful that either will be given heavier sentences than at their first trials. Chung has been out on bail since June of last year, two months after being arrested, while Kim has been enjoying a “suspension” of his sentence since August 14, three months after his arrest, and both men were able to commute to their trials from home. This is all just confirmation of that old “precedent” in which conglomerate tycoons almost never serve actual time for the crimes they commit.
더 엄정해야 할 기업인 재판
수백억원의 회삿돈을 횡령한 혐의 등으로 기소돼 1심에서 징역 3년을 선고받은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의 항소심 결심 공판이 그제 열렸다. 어제는 보복 폭력을 저지른 혐의로 1심에서 징역 1년6월을 선고받았던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항소심 결심 공판이 있었다. 두 사람의 항소심 선고 공판은 다음달 6일과 11일로 각각 예정돼 있지만, 1심 형량 이상으로 엄한 처벌이 내려질 것 같지는 않다. 이미 정 회장은 구속된 지 꼭 두 달 만인 지난해 6월 말에 보석으로, 김 회장은 구속 석 달 만인 지난 14일 구속집행정지로 각각 풀려나 불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받았다. 범죄를 저지른 대기업 총수가 실형을 제대로 사는 일은 거의 없었다는 ‘전례’가 다시 확인된 셈이다.
[한겨레사설 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