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pan’s new foreign minister, Nobutaka Machimura, has announced that he is considering humanitarian aid for North Korea, the idea being that the fact that North Korea is suffering from massive storm damage has nothing to do with the issue of abducted Japanese citizens is because it was a natural disaster. Lately Japan has been insisting that it would not participate in aid for the North unless there was progress on the issue of its abducted citizens, maintaining a hard-line approach that was all about sanctions and pressure. The last time Japan sent aid was in August 2004, in the form of food and pharmaceuticals, through an international agency. If Machimura’s comments indicate that there is change in Japan’s stubborn attitude, then it is a welcome development indeed. Helping a neighboring nation in times of difficulty is a matter of course and the right thing to do.
The fact that Japan is announcing its intention to help North Korea, even if only on a limited scale, appears to be the result of having determined that it was going to be hard to find solutions to the Japan-North Korea relationship with its current hard-line approach. Indeed, there has been no small amount of criticism in Japan and abroad of its approach to North Korea, one that gave the abductees such priority. Specifically, the criticism was generally that Japan was becoming the only nation at the six-party talks that was becoming an obstacle to progress because of its excessive obsession with the abduction issue, and also that its hard-line approach was not producing any real results. In Hanoi last March, talks between the two countries about normalizing ties, talks that were part of the “working-level talks” pursuant to the current stage of the six-party process, broke down after a mere three hours of discussion, entirely because of differences on this issue. The next round of normalization talks is set for September 5 in the Mongolian capital of Ulan Bator, so even if only out of concern for appearances, Japan needed to find a more realistic approach. Japan is also said to be ready to talk about its colonial past. Whatever Japan’s calculations may be, even if this only provides an opportunity for serious talk, instead of the old competitive confrontations, then it is of no small significance.
It remains to be seen, however, whether this move will lead to fundamental change in Japan’s North Korea policy. Machimura is said to be of the position that his country should use dialogue and pressure simultaneously, but it would be hard to say there has been fundamental change in the tone of prime minister Shinzo Abe’s cabinet when it comes to Pyongyang. Even if it does give aid this time around, in form it will be in response to a United Nations request and it will go through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at is surely because Japan wants to go out of its way to emphasize that it is aid given for humanitarian reasons and is something different in character from the energy aid being discussed at the six-party talks. It will be hard for Japan to keep pace with the changing political climate in the region with that kind of noncommittal attitude. One would hope to see Japan change in a way that bears more responsibility for peace in East Asia.
일본의 대북지원 검토, 변화의 출발점 돼야
일본의 마치무라 노부타카 신임 외상이 그제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의 집중호우 피해는 천재지변이기에 납치 문제와 연결시키지 않고도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본은 그동안 자국민 납치 문제에 진전이 없는 한 대북지원에 참여할 수 없다며, 제재와 압박 일변도의 초강경 노선을 유지해 왔다. 정부 차원의 대북 지원도 2004년 8월 국제기관을 통해 식량과 의약품을 보낸 게 마지막이었다. 마치무라 외상의 발언이 이런 완고한 태도에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을 내비친 것이라면 환영할 일이다. 이웃나라의 어려움을 돕겠다는 것도, 당연하지만 옳은 자세다.
일본이 제한적이나마 대북 지원에 참여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은, 기존의 대북 강경 자세로는 북-일 관계의 해법을 찾기 어렵다는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일본의 납치 문제 중시 대북외교에 대해선 안팎에서 비판이 적지 않았다. 납치 문제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바람에 6자 회담의 진전에 유독 혼자 걸림돌이 되고 있다거나, 강경 자세에도 아무런 구체적 성과가 없다는 지적이 그런 것이다. 지난 3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6자 회담 북한-일본 국교 정상화 실무그룹 회의는 납치 문제를 둘러싼 양쪽의 견해차로 불과 세 시간 만에 결렬됐다. 다음달 5일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열리는 후속 실무그룹 회의를 앞둔 일본으로서는, 안팎의 시선 때문에라도 좀더 현실적인 해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었을 것이다. 일본은 이번 회의에서 과거사 청산 문제도 함께 논의할 수 있다는 방침이라고 한다. 어떤 계산에서 나온 것이든 북한과 일본이 경쟁적인 강경 대치 대신 진지한 대화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면 그것만으로도 의미가 없지 않다.
그러나 이번 조처가 일본 대북정책의 근본적인 변화로 이어질지는 불투명하다. 마치무라 외상은 대화와 압력을 병행해야 한다는 쪽이라지만, 아베 내각이 대북외교 기조를 근본적으로 바꿨다고는 보기 어렵다. 이번에 대북지원이 이뤄지더라도 유엔의 요청을 따르는 형식으로, 국제기구를 경유해 이뤄질 것이라고 한다. 6자 회담의 에너지 지원과는 성격이 다른, 인도적 차원의 지원임을 애써 강조하려는 것일 게다. 하지만 이런 어정쩡한 자세로는 주변 정세의 변화를 따라가기도 어렵다. 일본이 동아시아 평화를 위해 좀더 책임있는 모습으로 바뀌길 기대한다.
[한겨레사설 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