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새 국면 여는 중요한 계기"
남·북한은 8일 2차 남북정상회담 개최 합의 사실을 공동 발표했다. 청와대는 춘추관에서 백종천 청와대 안보실장, 김만복 국정원장, 이재정 통일부장관이 남·북 정상회담 합의 사실을 발표했다.
남·북은 ‘노무현 대통령의 평양 방문에 관한 남·북합의서’에서 “대한민국 노무현 대통령과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합의’에 따라 오는 8월 28일부터 30일까지 노무현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합의는 김만복 국정원장과 북측 김양건 통일전선부 부장간에 이뤄졌다.
남·북은 또 “남·북정상들의 상봉은 역사적인 6·15 남·북 공동선언과 우리 민족끼리 정신을 바탕으로 남·북관계를 보다 높은 단계로 확대발전시켜 한반도의 평화와 민족공동의 번영, 조국통일의 새로운 국면을 열어나가는데서 중대한 의의를 가지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남·북은 또 합의서에서 “정상회담을 위한 준비접촉을 조속한 시일안에 개성에서 갖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담, 북측 제의로 성사
7년만에 다시 열리는 남·북 정상회담은 북측의 초청에 따라 김만복 국가정보원장이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2차례에 걸쳐 비공개로 방북해 북측과의 협의를 통해 개최합의에 이르게 됐다.
김 원장이 지난 2~3일 북한을 방문했을 때 북측은 김양건 통일전선부장을 통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위임에 따른 중대제안 형식으로 ‘8월 하순 평양에서 수뇌상봉을 개최하자’고 제의해 왔다.
김 통전부장은 “‘김정일 위원장은 참여정부 출범 직후부터 노무현 대통령을 만날 것을 결심했으나 그동안 분위기가 성숙되지 못했으며, 최근 남·북관계와 주변정세가 호전되고 있어 현 시기가 수뇌상봉의 가장 적합한 시기’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북한은 북측 제의에 대해 가급적 빠른 시일내 국정원장이 재방북해 남측의 동의 여부를 공식 전달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따라 김만복 국정원장은 노무현 대통령에게 이같은 내용을 보고했고 노 대통령은 북측제의를 수용할 것을 지시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김 원장은 4~5일 다시 북한을 방문해 북측의 ‘남·북정상회담 개최 제안을 수용한다’는 노 대통령의 친서를 김양건 통전부장을 통해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전달했다.
북측의 남·북 정상회담 전격 제의와 정부가 이를 수용함에 따라 오는 28~30일 평양에서 제2차 정상회담을 개최한다는 남·북합의서를 국정원장과 통전부장 명의로 서명에 이르게 됐다.
이에 앞서 지난 7월초 우리측은 남·북관계 진전과 현안사항 협의를 위해 김만복 국정원장과 김양건 통일전선부장 간의 고위급 접촉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북측은 지난달 29일 김 통전부장 명의로 8월 2~3일간 국정원장이 비공개로 방북해 줄것을 공식 초청해 왔다. 남북은 지난 ‘6·15 공동선언’에서 ‘제2차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그동안 장관급회담 등 주요 남·북접촉 계기를 통해 북측의 ‘2차 남·북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입장을 확인하면서, 필요한 경우 특사를 파견할 용의가 있다는 뜻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북측은 그동안 정상회담 개최에는 원칙적으로 동의하나, 시기는 주변정세와 남·북관계 상황을 보면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견지해 오다 이번에 전격적으로 정상회담을 제의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