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저한 검증 필요…실현 가능성 '글쎄?'
철저한 검증 필요…실현 가능성 '글쎄?'
  • 임창준
  • 승인 2007.07.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나라당 4龍, 마구 쏟아낸 제주관련 '장밋빛' 공약
"신제주시대ㆍ제2공항건설ㆍ하버드大 분교 유치"
22일 오후 제주시 한라체육관에서 전국 처음으로 실시된 한나라당 예비후보 합동연설회에서 4명의 예비후보들은 제주 관련 공약들을 쏟아냈다. 이들 4명 후보들의 공약대로만 된다면 제주의 미래는 그야말로 장밋빛으로 가득하고 영롱한 코발트 색으로 채색될 듯 싶다.

이날 각 후보들은 '신제주도시대' '남북정상회담 제주 개최' '제주 전지역 무관세 지역' '제2국제공항 건설' 등 무수히 많은 공략들을 제시했다. 국정에 대한 공약보다는 제주지역 표심을 훑기 위해 전국의 1%인 제주 지역 공약을 발표하는데 적지 않은 시간을 할애 발표하는 바람에 제주도민의 귀가 즐겁기까지 했다.
예비 후보별 제주 관련 공약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기호훈)

■이명박, "'新제주도시대' 열어나갈 것"= 이 후보는 "제주를 바꾸고 대한민국을 바꾸겠다는 사람은 많지만 실제 그렇게 할 수 있는 사람은 별로 없다"고 설명하면서 자신이 진짜 '일 잘 하는 지도자'임을 강조했다.

이 후보는 "제주도는 명실상부한 국제자유도시로 만들어내고 제주 감귤이 경쟁력을 갖도록 대책을 마련하겠다"면서 "국제공항을 국제공합답게 만들어서 하늘길이 막히지 않도록 하고 온 나라가 제주도를 꿈꾸는 시대, '신제주시대'를 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박근혜, "제주 전 지역 무관세. 제주를 보물섬으로 조성“= 박 후보는 "제주특별자치도가 된 지 1년이 지났지만 달라진 것이 전혀 없다"고 지적하면서 "제주 전지역을 무관세 지역으로 만들어서 진정한 국제자유도시를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그는 "숙박.음식업.체육.오락시설에 부과세를 없애고 첨단기업 유치를 위해 법인세를 감면하겠다"면서 "제2의 국제공항을 건설하고 의료, 관광, 쇼핑, 영어, 교육 등 제주의 잠재력 적극 개발해서 국내는 물론 전세계의 사람과 돈이 몰려오는 말 그대로 '보물섬' 제주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원희룡, "평화의 섬 제주에서 남북연합의 시대 실현"= 원 후보는 '통일 대통령'이 될 것을 천명하면서 '제주 평화의 섬'의 상징성을 극대화 시킬 것을 강조했다.

원 후보는 "평화의 섬 제주에서 남북정상회담을 열고 평화체제를 선언해 남북연합의 시대를 열어서 북한을 넘어 저 유라시아 대륙으로 갈 것"이라면서 "제주특별자치도에 사람, 돈, 물건이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도록 항공권, 면세권, 금융 감독 권한 모두 다 줄 수 있도록 하겠다"고 피력했다.

■홍준표, "제2 국제공항 시설, 동북아 교육, 의료중심지 조성"= 홍 후보는 ▲제2공항 건설 ▲교육 중심도시 육성 ▲제주 의료중심지 발전 ▲관광산업 발전 위한 컨벤션 유치 및 오픈카지노 도입을 내걸었다.

홍 후보는 "대통령이 되면 제2공항 부지를 조속히 확보하고 완공시키겠다"면서 "스탠포드, 하버드 등을 제주에 유치해서 제주를 동북아의 교육중심 도시로 육성하고 관광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컨벤션센터를 유치하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미덥지 않은 제주관련 공약=하지만 이같은 화려한 공약이 제주의 지역현실과 국내외적 여러 관계를 충분히 제대로 통찰한 기본의 터 위해 실천 가능한 공약이었는지에 문제를 제기하는 전문가들이 많다. 다시 말해 제주지역 현안이 갖고 있는 문제에 대해 충분히 정책적인 연구와 검증을, (최소한 예비검증이라도)거친 후에 이런 공약이 제시됐는지에 이를 미덥지 않게 보는 도민 시각이우세하다.

선거 때만 되면 '언론 플레이성' '즉흥성' '선심성'으로 보이는 공약들이 숱하게 쏟아져 나왔던 사실들을 도민들은 많이 기억하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제주에 관련된 후보들의 공약사항을 실현시키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역 언론기관이나 시민단체들이 제주현안들을 정리, 이를 각 후보들에게 사전에 질의하거나 자료를 내줘 제주를 방문할 때나 유세때 이를 발표토록 하는 것이 후보들의 공약실천을 담보하는 효율적인 방법이 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런 문제를 놓고 지역 지식인과 공직자들이 담론을 모아야 할 때가 되고 있다.
그렇지 않고는 그저 ‘한 건’ 하고 지나가는 그야말로 ‘선거용’ 공약을 남발할 가능성이 농후하고 이는 정치불신 마저 낳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후보들이 신경써야 할 대목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