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의 기본계획 및 실천전략 수립’에 대한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특별법 제정과 기본계획을 확정하는데 크게 기여하였고, 6~7개월 동안 현안과제로 연구한 ‘화순항 해군기지 건설계획에 따른 제주지역 영향분석’에 대한 연구는 해군기지 건설이 제주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시발점이 되는 연구였다.”
지난 14일 3년간의 제주도발전연구원장 임기를 끝내고 퇴임한 고부언 제주발전연구원장(사진)은 이같이 말했다.
지역발전의 현안과제에 대한 정책지침을 마련하고, 제주의 미래 청사진을 보다 확실하게 제시해 줄 수 있어야 하는 것이 발전연구원의 기본 업무다.
고 원장은 “지역 경쟁력의 척도는 그 지역 연구기관의 능력여하로 평가된다.
당해 지역의 연구기관이 결과물로 내놓은 로드맵, 그리고 수행기관의 수행의지가 공유될 때 지역은 발전된다”며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의 바로미터가 바로 이와 같은 선의의 공유에서 비롯된다”고 강조했다. 고 원장은 제주도와 발전연구원과의 미묘했던 관계설정 문제에 대해서도 말을 꺼냈다.
“제주발전연구원은 법률적이나 외형적으로는 제주도와는 독립된 기관이지만 도지사가 연구원장 임명권자인데다 도 예산지원 없이는 독자적으로 과업을 수행하기도 곤란한 것이 연구원의 현실”이라고 전제, “이 때문에 연구원의 연구활동에 대한 정치적 중립성이 자주 논란이 되어 왔다”고 털어놨다.
이어 그는 제주도와 제주발전연구원의 관계를 고부간의 갈등으로 풀이했다.
아들 입장에서 어머니를 따르자니 부인이 문제가 되고, 또 부인을 따르자니 불효를 하게 된다는 것.
고부간의 갈등이랄까. 발전연구원은 연구의 정체성을 살려야 하지만 도의 정책과도 보조를 함께 해야 하는데 이 조화를 맞추는 데 갈등과 눈치로 힘들었다는 게다.
고 원장은 “제주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여러 현안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류득묘’(隨流得妙)의 고사성어를 음미할 필요가 있다”며 “이는 순리에 따라 이치를 거스르지 않고 힘들수록 순리를 짚어나가되 무엇이 가장 큰 가치인가를 생각해보는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