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돗물을 식수로 음용하는 인구수가 급속히 떨어지면서 생수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생수(먹는샘물) 이용량이 급증하면서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도시와 농어촌 간에 음용수 문제를 놓고 양극화 현상마저 벌어지고 있다.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가 최근 제주도민들의 수돗물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수돗물을 직접 식수로 이용하는 경우는 2002년 38.9%에서 2007년 22.4%로, 2002년 대비 16.5%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삼다수 등 먹는샘물(생수)을 식수로 이용한 경우는 2002년 4.4%에서 2007년 33.5%로 급증했다. 이같은 먹는샘물 이용 증가량은 앞으로 더욱 급증할 전망이다.
특히 인구수가 많은 제주시나 서귀포시 동(洞)지역의 삼다수 등 먹는샘물 이용률은 83%로 아주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소득이 높은 가구일수록 먹는샘물 이용률이 높아, 수돗물 이용을 놓고서도 양극화 현상이 날이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다.
이에따라 앞으로 삼다수 판매율은 나날이 늘어날 전망이다.
특히 가정에서의 삼다수 구입비용, 정수기 구입 및 사용 관리 비용 등이 상수도 요금에 비해 몇 배를 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가계비지출도 급증, 점차 가계를 압박할 것으로도 예상된다.
이처럼 대다수 가구에서 수돗물 식수를 포기하고 먹는샘물로 전환하는 가장 큰 원인은 제주 수돗물에 대한 불신 때문으로, 특히 낡은 수도관을 통해 가정으로 급수되는 과정에 녹슨 물이 섞여 나오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가장 큰 요인으로 풀이된다.
더구나 도 수자원본부의 홍보부족 등으로 지역주민의 40% 정도가 수돗물 수질검사를 하는지 조차 몰라 수돗물이 식수로서 부적합하다는 인식을 더욱 깊게 하는 원인도 되고 있다.
앞으로 수돗물 식수 사용량이 이처럼 해마다 지속적으로 줄어들 경우 도 당국의 상수도 재원확보에도 차질이 생겨 청정 수돗물 생산 공급 계획에도 문제가 되지 않을까 우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