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기지 유치를 결정짓는 제주도민 1500명을 대상으로 한 찬.반 조사 결과 43개 읍면동 가운데 23곳이 문제가 있는 데이터(백분율)가 나타나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더욱이 이 같은 결과는 여론조사기관의 대명사인 한국갤럽이었다는데서 논란이 되고 있다.
14일 군사특위 행정사무조사 7차 회의에서는 한국갤럽의 2차 여론조사 발표자료의 문제점이 논쟁으로 떠올랐다.
오옥만 의원은 “제주해군기지 유치 결정에 근거가 됐던 도민 전체 1500명 여론조사 결과에서 매우 심각한 오류가 발생했다”며 “2차 여론조사 발표 자료를 분석한 결과 43개 읍면동 중 절반이상인 23곳에서 결과가 잘못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문제가 된 점은 한국갤럽측이 1500명 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지역별로 빈도수를 적시하지 않고 백분율로만 표시했다는 부분이다.
오 의원은 “기본적으로 15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했다면 찬성측과 반대측 및 무응답의 인원수가 집계돼야 한다”며 “그럼에도 한국갤럽은 조사결과를 발표하면서 지역별로 빈도수를 적시하지 않고 백분율로만 표시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오 의원은 “여론조사 전문가 등의 자문을 거쳐 한국갤럽이 발표한 백분율 수치를 빈도수(응답자)로 역산해 봤다”며 “확인결과 10명의 사례수 중에서 찬성6.33명 반대2.67명 등 응답자가 나오는 등 상식 이하의 결과가 나왔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오 의원이 제시한 한국갤럽 2차 도민전체 조사 자료 결과를 보면, 정방동의 경우 10명의 사례수 중에서 찬성은 66.7%, 반대 26.7%, 무응답6.6%로 집계됐다.
쉽게 말해 10명이에게 질문을 던졌는데 어떻게 6.67명의 사람이 응답을 할 수 있냐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소수점이 나올 수 없는 데이터에 소수점이 나왔다는 것은 조사결과가 엉망이라는 논리다.
이날 한국갤럽 박병일 연구6 본부장은 "실제 조사 여건에서 보면 모(母)집단 형태에서 실제조사에서 달라지게 되는데 이를 보정하기 위해 가중치 작업을 하게 된다"며 "가중치를 적용하다 보니 다소 다른 백분율 데이터가 나오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박 본부장은 “모집단에서 형태에 따라 조사결과가 약간 이그러질 수있다”며 “원래 1값이 정해지는 것이 맞지만 가중치가 부여될 경우 소수점이 나올 수도 있고 안나올 수도 있다”고 답했다.
특히 박 본부장은 “이 같은 작업은 통계청은 물론 모든 통계과정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는 하나의 과정”이라며 “오히려 소수점이 없이 정확히 떨어지는 데이터가 조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 박 본부장은 "지나 5월31일 가중치 부여에 대한 내용을 공문으로 작성해 제주도에 전달했다"며 "여론조사 결과는 전혀 이상이 없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