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ial] Roh must hold debate on media reform plan
[Editorial] Roh must hold debate on media reform plan
  • 제주타임스
  • 승인 2007.06.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At the weekly cabinet meeting Tuesday, president Roh Moo-hyun had some more to say about his "Scheme to Elevate the News Coverage Support System." No small amount of what he said appears to be the result of arbitrary interpretations and unmitigated rage. Before we even talk about his position on the media, we would like to say we are sad and concerned.

Roh is confusing the essence of the issue here. We say this all over again, but the reason we oppose this move is not because we support the media culture of old, symbolized as it was by the briefing rooms, or because we have any obsession with the "conveniences" we might enjoy. We oppose the plan because it blocks media access to various government activities, which by themselves are important news items, and by doing so will ultimately seriously hurt the "people’s right to know." Restricting news coverage capabilities ahead of making government activities more transparent can only be interpreted as the government saying it is going to say only what it wants you to hear. Just as the Blue House says in its sophistry, anyone can access information. The problem is that the information will be one-sided, information which is provided by the government. Information people need to know or information the government is not interested in having people know can be easily suppressed. It will become harder for the media to fulfill its duty to the public to keep government and those in power in check on behalf of the people.

Roh is wrong for continuing with nothing but his own claims and calling for "briefing room reform," all while ignoring these concerns. It is also a distortion of the facts to say there "are no filing rooms in foreign countir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when they clearly exist, or that only "certain sectors" of society are opposed to the plan, when in fact most media, political parties, and potential presidential candidates are opposed.

It is a good thing that Roh has expressed his willingness to debate the issue publicly. However, a few conditions will need to be in place if the debate is going to be a healthy public discussion. For starters, he needs to completely withdraw his plan and debate the issue from the starting point. A proper debate requires that participants be open to changing their approach if they end up being wrong, or if the views of others prove better. It must not be a situation in which one decides on a direction and then criticizes anyone who does not go along. He needs to engage in debate with an open attitude.

This time around, when Roh talked about getting rid of filing rooms, you felt like you were hearing a threat issued on the street somewhere. Filing rooms are provided by the state at its many ministries and agencies out of respect for the aspects of the media that serve the public good. Also, you cannot show off the power you hold if you want a debate. Finally, the issue being debated needs to be perfectly clear. The government’s moves restrict news coverage and infringe on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as such, opposition to the plan must not be portrayed as an attempt by the media to maintain special privileges.

노 대통령, 원점에서 열린 자세로 토론해야

노무현 대통령이 그제 국무회의에서 ‘취재지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 논란을 두고 언급한 내용을 보면, 사실을 자의적으로 해석하거나 감정을 삭이지 못한 흔적이 적지 않다. 대통령의 언론관을 따지기 앞서, 안타깝고 걱정스럽다.

노 대통령은 이번 논란의 본질을 호도하고 있다. 거듭 말하거니와, 우리가 이번 조처에 반대하는 것은 기자실로 상징되는 과거 언론의 구태를 옹호하거나, 당장의 ‘편의’에 연연해서가 아니다. 주요 뉴스원인 정부의 각종 활동에 언론이 접근하는 것을 막아, 결국 국민의 알권리를 심각하게 해칠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투명성을 높이는 조처를 취하기에 앞서 언론의 취재활동부터 제한한다면, 정부가 자기 하고 싶은 말만 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해석될 수밖에 없다. 청와대 궤변대로 누구나 정보에 접근할 순 있겠지만, 그것은 정부가 제공하는 일방적 정보일 뿐이다. 정작 알아야 할 정보나 정부가 원하지 않는 정보는 쉽게 은폐된다. 국민을 대신해 정부와 권력을 감시하는 언론의 공적 기능을 다하기가 어려워지는 것이다.

이런 지적을 외면하고 “기자실 개혁”이라며 자기 주장만 펴는 노 대통령의 자세는 옳지 않다. 미국 등에도 엄연히 있는 기사송고 시설을 “없다”고 하거나, 대부분의 언론과 정당·대선주자들의 반대를 “일부”라고 외면하는 것은 사실 왜곡이다.

그럼에도, 노 대통령이 공개 토론을 할 뜻을 밝힌 것은 긍정적이다. 다만 이 토론이 건강한 공론의 마당으로 되게 하자면 몇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취재지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을 전면 철회하고 원점에서 토론을 시작해야 한다. 제대로 된 토론은, 자신이 틀렸거나 상대의 생각이 더 옳다면 이를 반영할 수 있는 길을 여는 것이어야 한다. 방향을 미리 정해놓고 그것에 동의하지 않으면 잘못이라고 비판하는 식이어선 안 된다. 열린 자세로 토론에 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번에 노 대통령이 송고실 폐쇄까지 거론한 것은 저잣거리의 ‘으름장’을 떠올리게 한다. 송고시설은 국가가 언론의 공적 성격을 존중하는 의미에서 제공하는 것이지 시혜가 아니다. 토론을 하자면서 권력을 과시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 또, 논점을 분명히해야 한다. 이번 조처의 본질은 ‘취재 제한’과 ‘알권리 침해’다. 이를 언론의 기득권 지키기로만 몰고가려고 해서는 안 된다.

[한겨레 5.31]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