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ce again we feel compelled to note the problems in how the government makes policy. No media watchdog or civic group was invited to participate in public hearings or debates while the government decided what it was going to do. On a couple of occasions certain figures were invited to talk over meals, and that was it. Nowhere do you see any evidence that the opposition coming from various sectors of society were ever adequately conveyed to the president. All you have is the president’s "will" and there is no room for debate and criticism. The government must withdraw its decision and start over, next time inviting civil society, the media, and academia to participate in the discussion.
비판과 토론 외면하는 노무현 정부
이번 조처를 통해 또다시 드러난 정책결정 과정의 문제점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이번 방침이 결정되기까지, 언론·시민단체들이 참여한 공청회나 토론회는 한 차례도 없었다. 한두 차례 밥 먹는 자리에서 의견교환만 있었을 뿐이다. 이번 조처의 주역이라는 노 대통령에게 각계의 반대 의견과 비판론이 제대로 전달된 흔적도 없다. 대통령의 ‘의지’만 있고, 토론과 비판은 사라진 셈이다. 정부는 이번 결정을 철회하고 시민사회와 언론, 학계 등이 고루 참여하는 제대로 된 논의의 장부터 마련해야 한다.
[한계레사설 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