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군기지 후보지 결정과 관련, 김태환 제주도지사는 15일 “해군기지는 길게는 15년, 짧게는 5년 이상 끌어온 문제로 어차피 결론을 내려야 할 시점”이라며 “계획과 절차에 따라 순리대로 후보지 결정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이날 서귀포시 공직자를 대상으로 한 특별교육에서 “여론조사 결과 발표를 늦추자는 일부 의견도 있었으나 그럴 경우 오히려 의구심이 생겨 도정에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우려했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후보지로 결정된 강정마을에 대해서는 전폭적인 행ㆍ재정 지원을 할 방침”이라며 “이 지역 발전을 위한 기본 마스터플랜을 수립해 차근차근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특히 “해군기지 후보지로 거론되던 지역 주민간 갈등 치유가 시급하다”며 “공직자들이 이에 대해 관심을 갖고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 지사는 논란이 되고 있는 공군기지와 관련해서는 “제주해군기지 유치와 연계한 공군 전투기 대대 배치 계획이 없다는 국방부 장관 직인이 찍힌 공문을 최근 받았다”고 소개한 뒤 “그런데도 정부 입장을 못 믿겠다면 국가 자체가 성립될 수 없는 게 아니냐”며 최근 제주사회에 공군기지 건설에 대한 의구심이 증폭되고 있는 것에 대해 불만을 나타냈다.
그는 이어 “공군기지는 200~300만평의 부지가 필요한데 현재 거론되고 있는 남부탐색구조부대 부지는 30만평에 불과하다”며 “이달 20일께 제주도의회 군사기지특별위원회에서 국방부 중기계획을 열람하는 만큼 이후 공군기지 문제와 관련한 의혹은 완전히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공군 탐색부대도 알뜨르비행장에 반드시 들어서는 것은 아니며, 제주도가 부지를 마련해 주면 알뜨기비행장을 넘기는 대신 그 곳으로 가겠다는 게 국방부의 입장”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