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가 장기간 이어지면서 일반음식점이 심한 부침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음식점의 경우 난립현상을 보이며 개업을 하면 밥은 먹고 산다는 말은 옛말이 되고 있다.
서귀포시가 올 들어 4월까지 관내 식품위생업소 현황을 집계한 결과 일반음식점의 현상변경이 심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기간 전체 식품위생업소 민원처리 708건 중 일반음식점이 52.8%인 375건을 차지해 심각한 경영난에 직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지난해 말 현재 서귀포시 지역 일반음식점은 모두 2331곳. 인구 67명당 1개 꼴로 난립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경제사정이 최악의 상황으로 치달으면서 적자 경영을 이기지 못해 경영권을 넘기거나 문을 닫는 음식점이 속출하고 있다.
지난 1~4월 전체 음식점 민원처리 건수 중 영업권 양도(184건) 및 폐업(87건)은 72%인 271건을 기록했다. 4개월 동안에 서귀포시 10% 이상의 음식점 주인이 바뀐 셈이다. 또 영업이 부진하면서 마지막 수단으로 상호를 변경한 경우도 40건이나 된다.
장기불황에 따라 외식인구가 감소하면서 일부 음식점을 제외한 업소들은 거의 장사가 안 되고 있다는 말이다.
관련업계는 “기존 업주들이 헐값에 점포를 내놓고 있으나 거래가 뜸한 점까지 감안하면 실제 음식점 폐업은 더욱 많아 부침현상이 되풀이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그런데 음식점은 IMF 이후 크게 늘어난 실업자를 대거 흡수하고 있는 업종. 이 업종의 부진은 지역경제에 후유증을 초래함은 물론 신용불량자 양산 등 사회문제도 야기한다는 점에서 당사자의 경영개선 노력과 함께 행정 차원의 지원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 음식점 관계자는 “경기침체 장기화와 무분별한 창업에 따른 과당 경쟁으로 일반음식점이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며 “신중한 업종 선택과 차별화된 아이템 개발 등을 뒷받침하기 위한 행정 차원의 지원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