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김장수 국방부장관 도청방문에 맞춰 해군기지 건설 반대 농성을 벌이던 지역주민 및 해군기지건설반대대책위 회원들이 풀려났다.
하지만 항의 농성을 벌이던 이들을 경찰이 강제연행한 것에 대한 비난여론이 이어지고 있다.
제주경찰서는 지난 14일 저녁 연행돼 재조사를 받았던 16명 가운데 12명을 석방한데 이어 15일 오전 고유기 군사기지반대대책위 집행위원장 및 지형철 민주노동당 제주도당 사무처장 등 3명을 추가로 귀가조치 했다.
진술을 거부했던 전우홍 민주노동당 제주도당 한미FTA저지 특별위원장은 제주지법에서 체포적부심을 받았다.
앞 서 해군기지 건설 반대 항의농성으로 경찰에 강제연행된 인원은 46명.
경찰은 재조사를 받은 16명을 집회 및 신고에 관한 법률과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다중퇴거명령거부)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 입건할 방침이다.
해군기지 건설 반대 농성자 강제연행과 관련 각 정당 및 시민.사회단체의 비난성명이 잇따랐다.
남원읍 해군기지반대대책위원회는 15일 "해군기지 로드맵을 당장 철회하고 해군기지 건설계획을 전면 백지화하라"고 해군과 제주도에 촉구했다.
대책위는 또 "지난 13일 제주도청 앞에서 시민단체 및 해군기지 반대 지역주민에게 자행한 제주도정과 제주경찰의 폭력 진압 행위는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행위"라며 "이는 제주4.3 사건 당시 선량한 도민들을 기마경찰로 짓밟았던 행태와 다를 게 없다"고 비판했다.
열린우리당 제주도당은 14일 논평을 내고 "주민들의 항의는 자유민주주의 기본정신에 근거한 최소한의 생존권적 저항이었다"며 "해군기지 건설과 관련해 국방부장관에게 주민의 기본적 요구를 전달하기 위한 정도의 사안에 대해 과거 군사독재 정권시절과 같이 대응한 것은 공권력의 남용"이라고 비난했다.
민주노동당 제주도당은 "지역주민들과 반대대책위 회원들은 물론 성직자와 도의원들까지 무차별적으로 강제연행되는 과정에서 부상자가 속출했다"면서 "이는 서슬 퍼렇던 군사정권시절에도 없었던 일"이라며 도민과 지역주민에 사죄할 것을 요구했다.
제주주민자치연대도 성명을 내고 "민주주의와 인권의 수레바퀴를 거꾸로 돌리는 사건"이라며 "이것이 도민과 국민의 혈세로 운영되는 정부와 경찰의 모습이냐"며 개탄했다.
이와 함께 남북공동선언 제주실천연대도 성명을 통해 공권력에 의한 폭력 강제연행 사태에 대해 즉각 사죄하고 해군기지 건설 추진을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하는 등 비난여론이 끊이지 않고 있다.
한편 제주도군사기지반대대책위는 16일 오전 8시40분 제주도청 정문에서 '해군기지 강행, 집회 강제해산 항의 피켓시위'를 가진데에 이어 오전 11시에는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여론조사 등 해군기지결정 관련 입장발표 기자회견'을 열 계획이다.
또 오후 6시부터는 신제주로터리 동쪽 인도에서 '해군기지철회, 평화염원을 위한 도민평화행동 집회'를 개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