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산 가공용 노지감귤 처리에 빨간불이 켜졌다.
한미FTA타결로 농축액 관세가 즉시 철폐됨에 따라 값싼 미국산 감귤류 농축액이 빠르면 내년부터 무관세로 수입되기 때문이다.
가공용 노지감귤은 전체 생산량의 1/5 수준에 불과하다. 그러나 1, 9번과 등 비상품과 시장격리차원에서 가공용으로 돌리면서 일정부분 농가소득을 담당하고 있다.
농협제주본부에 따르면 연도별 가공용 감귤 수매물량의 경우 2001년 4만7445t에서 2002년 11만2359t, 2003년 12만333t, 2004년 10만517t, 2005년 12만5343t, 2006년 10만9483t으로 연간 평균 11만t 내외다. 이 가운데 노지감귤 가격 호조를 보인 지난해의 경우 물량이 전년대비 1만5860t으로 줄었다.
지난해 가공용 도내 수매물량은 제주도지방개발공사의 감귤1, 2공장에서 사들인 5만2900여t을 비롯 일해 3만4964t, 롯데칠성 2만558t, (주)삼미식품 150t, 친환경업체 141t 등 10만5415t이었다.
도외 반출량은 군인공제회 1120t을 비롯 롯데칠성 1000t, 삼미식품 800t 등 13개 단체 및 업체에서 총 3688t이었다.
그러나 이 같은 물량은 이제 미국산 감귤류 농축액 관세 즉시철폐로 경쟁력이 크게 악화, 폐기처분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특히 값싼 농축액 수입으로 그동안 제주감귤을 사들여 이를 가공해 온 개발공사의 감귤 가공공장도 설자리를 위협받게 된다.
그렇다고 가공공장을 돌리기 위해 오렌지를 사들이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인데다 상품용을 가공용으로 돌리는 것도 농가소득을 반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가공용 감귤을 폐기처분 않고 일반 상품과 같이 시장에 유통될 경우 상품가격 하락을 부추기는 또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 엎친데 덮친격의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일선 조합 관계자는 “값싼 농축액이 무관세로 들어오면 제주산 가공용 노지감귤은 끝장”이라며 “업체에서도 질 좋고 값싼 농축액을 선호하게 될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비록 그 규모가 크지 않더라도 가공용 감귤처리부분에 대한 손실보전은 반드시 정부차원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