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산이냐, 회생이냐의 갈림길에 서 있는 제주교역에 대한 새로운 위상정립은 불가능한 것인가. 이 부분에 대한 관계정립이 절대 필요한 실정이다.
지난 15일 주주총회에서 제주교역 대주주로 구성된 신임 이사진 4명의 어깨에는 실로 무거운 책임과 의무가 주어졌다.
회생여부를 결정짓게 될 감사가 곧 착수될 예정이다. 그 주체가 제주도감사위원회가 될지, 아니면 외부 공인회계사가 될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그러나 감사결과에 따라 제주교약의 미래가 판가름나게 된다.
현재 제주교역이 안고 있는 문제는 많다. 당장 2003년 6월부터 2006년 7월까지의 회계처리가 현재 어떻게 됐는지 관련 장부의 존폐조차 정확히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 기간 업무공백을 메워줄 관련자료가 필요하다. 현재로서는 이 기간 회계처리가 어떻게 됐는지 매우 불투명한 실정이다.
제주교역이 전 H 대표 사직후 사무실을 옮기는 과정에서 해당 장부를 찾는 것은 지금 이사진의 몫이기도 하다. 그래야만 곧 있을 감사에서 투명성을 확보, 잘못이 누구에게 있는가를 정확히 가려낼 수 있기 때문이다.
전 K 대표의 경우 당시 도지사가 선거논공행상에 따라 발탁한 인사로 알려진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 K 대표가 재임시절 부산소재 A수산과 수산물 위탁거래약정을 맺고 사업을 추진하던 중 회사에 10억원의 손실을 입혔다. 마침 공교롭게도 이 10억원이 건네진 시기가 2002년 도지사 선거 등 지방선거를 앞둔 시기라는 점에서 정치적 스캔들 의혹을 사고 있다. 이 문제는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채 회자되고 있다.
문제는 10억원을 날렸는데도 51%의 주식을 소유하고 있는 도와 시군, 그리고 농수협 등 생산자단체는 10억원 사기사건의 의혹을 파헤치기는 커녕 강건너 불 보듯 했다. 이 문제는 지금 유야무야돼버렸다.
전 H대표는 “당시 10억원 의혹사건에 대해 이사인 농수협조합장들이 나서서 한 일이 무엇이 있느냐”며 “그들은 내가 재임할 당시 2005년 6월 51% 증자약속을 해 놓고도 지키지 않은 사람들이었다”며 분통해 했다. 고필적 직무유기라는 것이다.
제주교역이 무너진 단초는 바로 이 10억원 사기사건과 잇따른 호접란 실패였다. 그러나 보다 큰 원인은 당시 농수협 수출입 창구일원화를 위해 세워진 제주교역을 이사진들로 참여한 농수협에서 철저히 외면한데서 비롯됐다는게 더 설득력을 갖고 있다.
제주교역의 한 이사는 “당시 신구범 지사가 제주 농수산물 수출을 위해 각각 이뤄지고 있는 조합별 수출입 창구를 일원화하기 위해 앞장서서 제주교역을 설립했는데 결론은 ”아니올씨다“였다”면서 “당시 농수협은 조합대로 수출했고 제주교역은 결국 겉돌아 수출을 포기, 내수시장으로 눈을 돌려 인천에 Fresh Jeju를 설립한게 아니겠느냐”고 반문했다.
“지금 시점에서 더 이상 과거로의 회귀는 제주교역 설립취지를 부정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당초 설립취지에 충실했다면 지금의 제주교역은 젊은이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직장이었을 것이다” 파산보다 회생의 메시지를 담고 있는 말이다.
제주교역의 당초 취지를 살리는 길, 제주도가 할 일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