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점 원산지 표시제 '허울뿐'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 '허울뿐'
  • 한경훈
  • 승인 2007.03.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규제대상 너무 한정…"식육 범위ㆍ종류 규정 두지 말아야"
축산물 유통질서 확립과 소비자의 알권리 충족 차원에서 지난 1월1일부터 쇠고기에 대해 음식점 원산지표시제를 시행하고 있으나 규제대상이 너무 한정돼 허울뿐인 제도로 전락하고 있다.

300㎡(90평) 이상 식당의 구이용 쇠고기에만 원산지를 표시토록 해 대부분의 음식점은 여전히 식품안전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지적이다.

19일 현애자 민주노동당 의원실에 따르면 도내 일반음식점 중 원산지 표시의무가 있는 영업점은 32곳으로 파악되고 있다.

도내 신고 일반음식점이 8485곳(2006년 12월 말 기준)임을 감안하면 전체 음식점 중 약 0.38%만이 쇠고기 원산지표시제의 규제를 받는 셈이다.

이 같은 비율은 전국 0.7%에 비해서도 크게 낮은 수치다. 일반 서민들이 흔하게 찾는 영업점은 원산지표시제의 규제를 받지 않아 대다수 소비자들은 자신들이 먹는 쇠고기의 원산지와 종류를 알 수 없다.

한ㆍ미FTA협상에서 미국 측이 ‘뼈를 포함한 쇠고기 전면수입개방’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에서 소비자의 먹거리 안전이 우려되는 대목이다.

특히 집단식중독 사태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는 학교급식 등 집단급식소에서 취급하는 식육에 대해 원산지표시를 의무화하지 않은 것도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다.

현애자 의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음식점 쇠고기 원산지표시제가 중대형음식점만을 대상으로 해 당초의 도입 취지를 무색하게 하고 있다”며 “영업점 규모에 상관없이 원산지표시제를 전면시행하고 식육의 범위와 종류의 규정도 두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집단식품사고의 우려가 있는 학교급식소 등 집단급식소에도 식육의 원산지표시를 의무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