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 감귤재배지 전국화…30배 급증
지구 온난화로 현재처럼 해마다 기온이 높아질 경우 20년 후에는 영. 호남 내륙 지방에서도 감귤재배가 가능할 것이란 연구결과가 나와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중. 장기 감귤산업육성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농업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는 연구결과 연평균 기온이 2도가 상승하는 20년 후에는 감귤재배 적지가 현재 재배변적 (2만400ha)의 30배인 60만 ha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최근 밝혔다.
또한 현재 도내 감귤은 해발 200m 아래 지대에서 재배되고 있지만 연평균 기온이 1도 올라갈 경우 해발 250-300m 중산간 지역과 한라산 남쪽에서 산북으로 재배지역이 대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까지 도내 감귤정책은 재배면적 감축에 따른 과잉생산 구조 개선과 이를 통한 유통처리난 해소에 주안점을 두고 전개돼 왔다.
제주도는 적정생산을 위해 해발 200m 이상 감귤원과 동해 및 재해 상습피해지 등 부적지 감귤원에 대한 폐원과 간벌, 적과 등에 행정력을 집중해 온 것이다.
이에 따라 노지 감귤재배면적은 지난 2002년 2만3789㏊에서 지난해 2만400㏊로 크게 줄었다.
그러나 이처럼 지구 온난화 등으로 인한 연 평균기온 상승으로 감귤재배 면적이 확대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연 평균기온이 2도 상승할 경우 감귤재배 가능지역이 현재의 30배 정도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중장기 계획 수립은 '발등의 불'로 다가왔다.
특히 기온상승으로 사과재배 적지에도 변화를 가져와 연평균기온이 3도 상승하면 현재 2만7000ha의 재배면적이 1만5000ha로 축소될 것으로 예상, 현재의 사과 생산지가 감귤 재배로 전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난지농업연구소는 "지구 온난화 등 기후변화에 따른 감귤 재배면적 확대 가능성에 대비한 감귤산업발전대책이 수립돼야 한다"면서 "기후변화에 따른 알맞는 품종 선발과 작부체계 재설정 등 대비책 마련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