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 "'빅3' 절대 추진해야" '목매'
김 지사, "'빅3' 절대 추진해야" '목매'
  • 임창준
  • 승인 2007.03.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앙부처ㆍ청와대 '빅3' 수용 어렵다는데

‘빅 3(Big 3)’ 자체를 놓고 ‘빅 3’가 되면 제주특별자치도가 되고 빅3가 안되면 특별자치도가 안되는 것처럼 말을 하지 말라“

노무현 대통령 최측근인 김병준 청와대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27일 제주를 방문, 언론인과의 간담회 및 지역유지들을 상대로 한 특강에서 역설한 대목이다.

지난 2월 특별자치도 지원을 위한 실무 관계부서 차관회의에서 제주도가 2단계 특별자치도의 제도상 핵심개선 과제로 끈질기게 요구하고 있는 항공자유화, 제주 전지역 면세화 , 법인세율 인하 등  ‘빅3’를 모두 거부한데 이어 김 실장이 제주에 직접 내려와 이처럼 강조하고 상경했다.

중앙정부의 입장에선 사실상 빅 3 실현이 곤란하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천명하고 쐐기를 박은 것이다.

그럼에도 김 지사가 반드시 ‘빅3’ 실현을 이루겠다고 공언했다.

김태환 지사가 2일 오전 직원 정례회의를 통해 "빅 3 실현을 위해 끝까지 최선을 다 할 것"이라며 마지막까지 끈을 놓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김 지사는 "제주특별자치도 2단계 제도개선 사항 중에서 '빅3' 등 우리가 추진하려는 핵심과제들이 난항을 겪고 있기는 하지만 우리가 의도한 부분이 반드시 관철될 수 있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해 나가야 한다"며 뒷심을 낼 것을 관계 공무원들에게 채근했다.

이보다 앞서 김병준 청와대 청책기획위원장은 "제주특별자치도는 '빅3'이외의 다른 대안을 찾아야 한다'면서 이번 특별법 개정에 ‘빅3’와 교육, 의료 시장 개방 등은 반영되기 힘들 것임을 시사했다.

그런데도 김 지사가 아직까지 '빅3' 등 핵심과제에 대해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김 지사는 요즘 ‘빅 3’ 실현에 목을 매고 있는 상황이다. 선거법위반 혐의로 이달 들어서는 광주를 오가며 2심 공판을 받기 위해 준비에 몰두해야 할 입장이지만 빅 3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그가 올해 들어 최대 역점시책으로 내건 ‘뉴 제주운동’도 ‘빅 3’ 순위밖에 쳐져있다.

김 지사는 지난주에도 건설교통부, 교육부 고위 관계자와 청와대 혁신수석 등을 연쇄 접촉하고 핵심과제 추진 필요성을 역설했다. 2일에도 또다시 서울로 올라갔다. 이날은 기획예산처와 건설교통부를 다시 찾았다.

‘빅3’ 실현을 위한 김 지사의 잇따른 대 중앙 절충이 과연 성과를 거둘지, 아니면 '계란으로 바위치기'로 무모하게 밀어붙이려는 결과가 될지 두고 볼 일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