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중지란(自中之亂)에 휩싸인 '개발센터'
자중지란(自中之亂)에 휩싸인 '개발센터'
  • 임창준
  • 승인 2007.01.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감사 폭로→해명→정부 조사→감사 해임 요구 등 파장
 "말 많게 입성하더니 혹시 말 많게 나가는 것인가"
1990년대 제주시 탑동 매립사건때 격렬한 반대운동의 주도로 나서며 시민운동가로 명성을 떨치던 양시경씨(44)는 제주도내 노사모 조직 책임자로 입성했다. 그런 그가 지난 해 7월 10일 노무현 정권에서 제주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이하 개발센터) 상임감사로 입성해 화제가 됐다.
그를 가리켜 “전문성 없는 정치권 관련 인사, 코드 인사” 아니냐며 곱지 않는 시선이 관가는 물론 특히 개발센터 터져나오기도 했다.
양 감사 문제로 요즘 개발센터는 물론 건교부도 시끄럽다.
서귀포시 동홍동 헬스케어타운 부지 감정평가를 둘러싼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집행부와 양시경 감사간 갈등이 결국 ‘해임요구‘란 강수로 로 번지는 등 파문으로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는 양시경 감사 해임을 요구하는 서면결의를 한 후 18일 임명권자인 건설교통부 장관에 양 감사를 해임해 줄 것을 공식적으로 요청했다고 23일 밝혔다. 국영 공기업체가 자기 공기업체의 상임감사에 대한 해임을 요청한 것은 초유의 일이다.
이사회는 양 감사가 지난해 12월1일 감사로서는 이례적으로 기자회견을 자청해 개발센터가 추진하는 서귀포시 동홍동 헬스케어타운 사업부지 감정이 턱없이 부풀려져 특정인에 대한 특혜의혹을 제기하는 등 내부의 문제를 외부에 폭로하는 등 기밀을 누출했으며, 정상적인 활동을 방해하는 등 이미지를 실추시켰다고 해임요청 이유를 밝혔다.
이보다 앞서 양 감사는 지난해 12월 1일 도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개발공사 간부가 토지주에게 로비를 당해 한국감정원에 감정가격을 높게 책정해주도록 요청하는 등으로 땅값이 부풀려져 있다”는 내용을 폭로했다. 감사가 자기 기업내 문제를 기업내에서 해결하지 않고 외부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밝힌 것은 충격적인 일로 받아들여졌다.
이 때부터 개발공사와 양 감사간에는 물밑 내홍이 시작됐다. ‘개발공사 비상대책직원회의‘가 발족돼 200여명 직원(전체 230명)들이 양 감사를 해임해야한다는 데 서명작업을 펼쳐지기도 했다. 양 감사와는 ‘같은 배에 탈 수 없다‘는 것이 경영진을 비롯한 상당수 직원들의 분위기인 듯하다.하지만 K모 등 일부 간부급들과 일부 직원들은 서명행렬에 동참하지 않았다.
양 감사는 이런 서명운동이 경영진의 지시에 의한 물밑작업으로 판단하고 있다.
건설교통부가 사실관계 조사에 들어갔다. 감찰팀은 감찰 결과, 감사를 배제한 채 과대평가한 한국감정원을 참여시켜 감정평가를 진행하는 등 대토지주에 대한 특혜소지 및 로비의혹과 관련해서는 “양 감사도 이사회에 참석해 감정평가 관련 의견을 개진했으며, 이사회가 특혜시비 해소방안을 의결해 절차를 진행중이었으므로, 언론을 통해 의혹을 제기한 것은 감사 행동으로서는 적절치 못한다”는 점을 통보했다. 확인되지 않는 사실을 언론에 발표함으로서 사회적 파동이 발생했다며 내부적 문제를 언론에 제기한 것은 문제라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이 문제로 내부갈등이 있는 상황 아래서 이사회가 충분한 토의와 의견수렴과정을 거치지 않고 서둘러 감정평가를 요청한 것은 이사회의 성급한 의사결정”이라고 지적했다. 양 감사도 문제가 있지만 이사회가 다 잘한 것도 아니란 지적이다.
하지만 이 같은 건교부 감찰팀 감찰결과에 대해 양감사는 수용할 수 없다는 뜻과 함께 도리어 개발공사 관련 임원 등 3명에 대해 중징계를 내릴 것을 16일 김경택 이사장에게 요구했고, 이에 반발해 이사회가 18일 서면결의를 통해 양 감사의 해임을 요청하는 초강경 수로 맞선 것이다.
제주참여환경연대는 23일 성명을 통해 “개발센터가 추진중인 헬스케어타운 토지매입가격 의혹을 둘러싼 대립이 급깅 ‘감사해임‘ 이라는 공기업사상 초유의 사태로 확대되고 있다”면서 “이런 의혹이 공개적으로 제기된 상황에서 문제제기의 당사자 해임을 통해 매듭지으려는 것은 더 큰 파국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온당치 않아 이를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