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1만원ㆍ1천원권 22일 발행
새 1만원ㆍ1천원권 22일 발행
  • 김용덕
  • 승인 2007.01.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4년만에 디자인 완전교체

지난해 1월초 발행된 새 5000원권에 이어 새 1만원과 1000원권이 22일부터 본격 시중에 유통된다. 1983년 이후 24년만에 처음으로 지폐 디자인이 완전히 교체되는 것이다.

현재 유통중인 1만원권의 크기는 가로 161㎜, 세로 76㎜ 이지만 새 지폐는 가로 148㎜, 세로 68㎜로 가로의 길이가 13㎜, 세로가 8㎜ 축소된다. 1000원권도 현재 151x76㎜에서 136x68㎜로 가로 15㎜, 세로 8㎜가 줄어든다.

지난해 1월 발행된 새 5000원권과 함께 세로 길이는 68㎜로 모두 같지만 권종에 따라 가로 길이만 6㎜씩 달라진다.

새 지폐는 색상의 명도와 채도를 높여 구권보다 밝고 화사한게 특징이다.

1000원권은 기존의 자색에서 연한 청색으로 바뀌었다. 5000원권과 1만원권은 종전과 같은 녹색 및 적황색 계열이지만 종전보다 훨씬 밝아졌다.

권종구분을 위해 1000원권은 차가운 색, 5000원권은 따뜻한 색, 1만원권은 차가운 색 등으로 색조를 교대로 채택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발행될 고액권인 5만원권은 따뜻한 색 계열, 10만원권은 차가운 색 계열로 색상이 결정된다.

새 지폐는 기존 지폐의 인물초상을 그대로 사용했다. 인물의 윤곽선이 좀 더 뚜렷해지고 얼굴 표정이 자연스러워지도록 초상 조각을 개선했다.

한국은행은 새 지폐는 전반적으로 인물의 위엄과 기품이 더욱 강조하는데 주안점을 뒀다..

1만원권 앞 배경은 순 한글로 창작된 최초의 작품인 용비어천가 제2장의 내용과 조선시대 임금의 상징물이면서 우리나라만의 독창적인 그림인 ‘일월오봉도(日月五峰圖)’가 들어간다.

뒷면 바탕무늬는 국보 제228호인 조선시대 천문도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를 펼쳐 놓은 위에 보조소재로 천문관측기구인 혼천의와 보현산 천문대의 광학천체망원경을 나란히 배치했다.

조선시대 대학자 퇴계 이황을 인물초상으로 한 1000원권은 명륜당과 매화나무를 앞면 보조소재로 채택했다. 지폐소재가 된 명륜당은 성균관 4개 건물과 함께 보물 제141호로 지정돼 있다.

뒷면은 조선후기 진경산수화를 개척한 겸재 정선의 ‘계상정거도(溪上靜居圖)’가 들어간다. 이는 퇴계가 계상서당에서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를 집필하고 있는 생전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위변조 방지는 대폭 강화됐다. 새 1만원권에는 크기가 확대된 정사각형 모양의 홀로그램이 들어간다. 이 홀로그램은 천원지방(天圓地方)의 의미를 적용, 땅의 모습을 본뜬 것이며 우리나라 지도와 태극, 액면숫자, 4괘 등이 번갈아 나타난다. 새 1000원권에는 홀로그램이 부착되지 않는다. 또 눈높이에서 지폐를 비스듬히 기울여보면 무늬 속에 숨은 문자가 들어 있는 ‘요판잠상’이 적용됐다.

색변환 잉크를 사용, 지폐를 기울여 볼 때 액면숫자의 색상이 달라 보이도록 했는데, 1만원권은 액면숫자가 황금색에서 녹색으로, 1000원권은 녹색에서 청색으로 색상이 달라진다.

1만원권의 인물 초상 오른편에는 가는 띠가 숨겨져 있는데 이 부분을 빛에 비춰보면 ‘한국은행, 10000, BANK OF KOREA’'라는 작은 문자가 나타난다. 1000원권에는 중앙부위에 숨고 드러나기를 반복하는 띠가 위치하고 있다.

특히 1만원권의 세종대왕 옷깃에 한글창제 당시의 28자모를 조각해 넣었다. 이 미세문자는 육안으로는 거의 식별이 불가능하며 확대경으로만 알아 볼 수 있다.

만약 컬러복사기 등으로 지폐를 위조할 경우 이 미세문자는 뭉그러져 나오기 때문에 위.변조 여부를 쉽게 판별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