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매 잠정 중단 …'찌꺼기 유출사건', 재고 산적 여파
제주도개발공사 감귤가공공장이 조업을 대폭 줄이면서 가공용 감귤 처리에 비상이 걸렸다. 26일 감귤농가 등에 따르면 개발공사 감귤가공공장은 지난 24일부터 가공용 감귤 수매를 중단했다.
감귤 출하 절정기에 도내 가공용 감귤의 절반 이상을 담당하는 개발공사가 이처럼 수매를 중지하면서 감귤농가들이 비상품 감귤 처리에 애를 먹고 있다.
개발공사가 가공용 감귤 수매를 중단한 것은 가공공장 조업을 크게 줄였기 때문. 최근 개발공사 금능리 소재 제2감귤가공공장은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한남리 소재 제1공장도 현재 가동률이 60%에 그치고 있다.
이는 지난 21일 발생한 감귤찌꺼기 유출사건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했다. 당시 서귀포시 안덕면 제주낙농농협 사료공장의 감귤 부산물 창고가 무너지는 바람에 농축액 제조과정에 나오는 감귤찌꺼기를 처리할 마땅한 방안이 없어 조업을 대폭 줄인 것이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으로는 쌓여가는 농축액 재고에 기인하고 있다. 개발공사는 음료시장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농축액 재고가 늘고 있는 마당에 마냥 공장을 가동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가공용 감귤 수매 차질이 장기간 지속될 것이란 전망을 낳게 하는 대목이다. 이에 따라 최근 부패과가 다량 발생하는 상황에서 가공용 감귤을 처리하지 못하는 농가들의 불만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육지부 유사도매시장 등에서 비상품감귤이 상품으로 둔갑ㆍ판매되는 사례도 증가할 것으로 우려된다.
개발공사 관계자는 “최근 농축액 판로가 여의치 않은 점을 감안하면 가공용 감귤 수매 차질은 어제든 돌출될 수 있는 잠재된 문제였다”라며 “현재 수매 재개를 위한 대안을 마련 중에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감귤박 처리문제와 관련, “찌꺼기 유출 부분은 수습단계에 있다”면서도 “감귤사료의 도내 소화에 한계가 있는 만큼 육지부 반출, 농가 무상지원 등 당국 차원의 정책적 결단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