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 찾아가는 '특별자치도'
안정 찾아가는 '특별자치도'
  • 임창준
  • 승인 2006.12.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별법에 고도의 자치권 부여…중앙권한 이양은 소극적

지난 7월 1일 우리나라 헌정사상 처음으로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했다. 60년 동안이나 시행해 오던 도­-시­-군 체제를 하루 아침에 도 단일 광역 행정체제(1개 도, 2개 행정시)로 바꾸는 바람에 새 체제에 익숙하지 못한 도민들이 많은 불편을 느끼기도 했다. 지나온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후 6개월‘을 4회에 걸쳐 진단한다.(편집자 주)

   1편) 특별자치도 시행- 고도의 자치권 부여
제주특별자치도의 출범은 2005년도 주민투표를 실시 단일광역자치안(혁신안)이 확정되면서『제주도 행정체제 등에 관한 특별법』이 금년 1월 11일에 공포됐고, 금년 2월 21일에는『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이 공포되면서 역사적인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했다.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한지 6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보면 60년만에 처음 시행된 시. 군 통합 등 행정구조 개편으로 인해 초기 상당수 업무가 혼선돼 주민불편을 겪어왔지만 6개월이 지나면서 각종 업무의 읍면동 이관 등 업무조정을 이룬 결과, 요즘은 어느 정도 안정을 찾아가고 있는 것 역시 사실이다.
또한 제주도가 중앙 정부의 권한을 특별법에 의해 우선 1,062건의 권한을 이양 받았지만, 중앙 정부 각 부처의 소극적인 자세로 아직까지 핵심적인 권한은 내주지 않고 있다. 일례로 렌트카 등록 지역 제한에 대하여는 현재 대법원에 계류 중에 있다. 그러나 옥외광고물 및 도로표지의 종류. 모양 등 지역실정에 부합하게 제도 개혁과 투자유치 여건 개선으로 외국인 투자유치가 활성화되고 있고, 도 전역 국제자유도시 지정으로 인한 회의산업육성 시스템 구축, 교통카드 통합 상수도 통합. 관광개발사업 일괄민원처리 등은 차츰 그 성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제주도는 2단계 제도개선과제로 정부등록규제 8,040건 중 총 1,454건을 발굴, 4+1 핵심산업과 지원환경 조성분야 등 420건의 우선검토과제 등을 2단계 제도개선과제로 선정, 지난 11월 8일 정부에 제출했다. 그러나 각 부처의 수용률이 극히 저조, 현재까지 중앙부처의 수용은 1백 14건으로 27%에 그치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최근 제주에 ‘영어전용타운‘을 설치하는 계획을 확정, 발표한 것은 제주특별자치도 추진에 대한 정부의 의지를 재확인함과 동시에 “4+1 핵심산업의 하나인 제주교육(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초석이 되고 있다.
향후 고도의 자치권을 지닌 명실상부한 국제자유도시로서 발전하기 위해선 제주도가 2단계 제도개선 과제를 어떻게 논리를 개발해서 중앙정부를 제대로 설득, 반영시켜 나갈 것인지 지켜볼 일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