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족 눈치 보여…공무원 절반 매일 수색ㆍ비상 근무
방어축제 어선침몰 사고 실종자(이영두 서귀포시장, 김홍빈 해영호 선장) 수색작업이 5일로 열흘째 접어들면서 제주도가 대규모 수색작업의 계속 여부를 놓고 '딜레마'에 빠져 있다. 제주도는 사고발생 이후 지금까지 전 공무원의 50%에 해당하는 인원을 매일 비상근무 및 수색작업에 동원해왔고, 군 차원에서는 육. 해. 공군을 망라한 대규모 수색작업을 벌여왔다. 도는 당초 실종자 가족들이 원하는 시점까지 수색작업을 실시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그러나 올 한해 도정을 결산하는 시기인 12월을 맞아 수색작업에 대규모 행정력이 계속 동원될 경우 대중앙 예산절충과 주민민원 불편해소, 행정기구 보완개편, 의회 예산심의, 특별법 2단계 제도개선 등 각종 현안 추진에 부담이 될 것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
이와관련 제주도는 지난 1일 합동영결식을 계기로 수색작업에 동원된 일부 민간어선들이 생업 지장을 이유로 수색작업에서 제외해 줄 것을 요청함에 따라 4일부터는 민간어선에 대해 자율참여 방침으로 전환했다.
제주도는 해경과 어업지도선. 지역주민의 협조 속에 전 공무원 50% 비상근무는 당분간 지속할 방침이다.
사고가 발생한 지난 달 25일부터 이달 3일까지 해상에서는 해경, 해군, 어업지도선 등 연 520척의 선박이 동원돼 수색할동을 벌였고 육상에선 연인원 2만2800명의 공무원이 동원돼 실종자 수색작업을 벌였다. 공중에선 연 25대의 항공기가 수색작업을 벌였다.
도는 실종자인 서귀포시장과 선장의 경우 법원에서 법적으로 실종자로 선고하기 까지는 일단 생존자로 간주해 수색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제주도나 해경 등은 현 단계에서 대규모 장기 수색작업을 벌여도 별다른 효과가 없어 회의감을 보이고 있으나 유족들의 상심이 워낙 크고 수색작업을 갈망하는 탓에 쉽사리 수색작업을 중단하지도 못하고 있다.
따라서 대규모 수색작업 여부의 지속 여부를 놓고 고민하는 제주도가 과연 어느 시점에 어떤 결단을 내릴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해군 해경의 경우 본연의 업무 수행을 위해 계속적인 수색작업에 참가하기가 어렵고, 헬기의 경우 안전운항을 위해 연간 비행시간이 정해져 있어 계속적인 출동이 불가능한 형편이다.
이종만 제주도해양수산본부장은 5일 “수색작업 장기화에 따른 어려움에 대해 “해상여건 및 기상악화에 따른 헬기 출동이 불가능하고, 장비 이용의 한계와 수색 장기화에 따른 수색범위 광역화로 수색 선단 및 장비 투입이 현실적으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고 토로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