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 지적 …"해결방안 내놔야"
제주도내 임금 근로자 2명 중 1명은 '비정규직'이라는 구체적 통계수치가 나왔다. 이 같은 내용은 18일 오후 제주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제주지역 비정규직 문제 해결과 권익향상을 위한 정책 세미나'에서 제기됐다.
한국노총 제주지역본부가 주최하고 제주도의회 좌남수 의원이 주관한 이날 세미나는 현재 국회에 2년 6개월째 계류 중인 비정규직 법안의 조속한 입법처리 주문과 함께 비정규직 실태를 진단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도내 비정규직 현황과 실태'를 발표한 양수원 한국노총제주도지역본부 교육홍보국장에 따르면 올해 9월 현재 전체 취업자는 28만 3000명.
이 가운데 자영업과 고용주(9만명), 가족종사자(무급-2만 6000명)를 포함한 비임금근로자를 제외한 도내 임금근로자는 16만7000여명에 이르고 있다.
양국장은 “이 중 비정규직 근로자는 상용근로자 8만5000명을 제외한 임시근로자 4만7000명과 일용근로자 3만4000명를 합한 8만1000명으로 전체 임금근로자의 의 48.5%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그런데 최근 국회 행정자치위원회에 제출한 제주도의 국정감사자료에 따르면 최근 2년 반 동안 일자리 창출사업을 벌여 1만 240명이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상당수는 도로청수 등 공공근로사업이나 아르바이트성 단기 비정규이었던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국노총 이용득 위원장은 “특히 관광서비스 사업에 저 숙련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다수 고용돼 저임금과 고용 불안에 시달리고 있다”며 “서비스의 질적 하락으로 이어짐으로서 제주관광 이미지마저 흐리게 하는 결과도 낳아 제주지역의 비정규직 문제가 하루 빨리 해결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