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능력시험을 하루 앞두고 수능 부정을 감시해야하는 교육당국과 경찰이 부정 첩보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수능부정행위 신고센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수능 직전인 지금까지 제보는 전무하기 때문이다.
제주도교육청은 지난 10월 중순 중등교육과장을 반장으로 하고 장학사 및 제주지방경찰청 수사요원 3명 등 모두 6명을 반원으로 하는 수능 방지 대책반 및 T/F팀을 구성했다. 도교육청은 이와함께 도 교육청 홈페이지에 '수능 부정행위 신고센터'를 설치하고 전화(번호 710-0214, 710-0114)로도 부정행위 혐의나 부정행위 움직임을 신고받고 있다.
수능 이틀을 앞둔 14일 현재까지 신고센터에 접수된 수능부정 제보는 전무한 실정이다.
교육청은 수험생이 시험장에 휴대전화나 전자사전, 디지털 카메라, MP3는 물론 시간 표시 이외에 다른 기능이 있는 시계도 가지고 들어갈 수 없도록 조치했다. 다만 과목별로 남은 시간을 계산해주는 이른 바 ‘수능시계‘는 반입이 허용된다.
교육당국은 수능 고사장 전파 탐지.방지기 설치를 검토했지만 실효성이 적고 인근 지역 생활을 방해할 수 있어 도입하지 않기로 했다.
금속탐지기 검사는 화장실을 가는 등 특수상황에서만 사용토록 함으로서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도 교육청 관계자는 "대리시험, 최첨단 기기 등을 이용한 수능 부정행위를 차단하기 위해 각 경찰서 관계자 등과 혐의해 여러가지 방안을 마련해 놓고 있다"고 말했다.
경찰의 사정도 이와 비슷하다.
제보가 없어 신고센터의 실효성이 사라진 만큼 각 경찰서 지능범죄수사팀은 인터넷 정보망 검색 비중을 높이고 있다.
경찰관계자는 "수능 부정행위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현재까지 이렇다할 제보는 없는 실정"이라면서 "교육당국과 공조를 강화하는 한편 청소년들이 주로 이용하고 있는 인터넷 카페 등을 중심으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교육당국ㆍ경찰, 신고센터 운영 …제보는 전무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