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공동성명
성산읍 난산리 풍력발전단지 사업과 관련 한국녹색회가 풍력발전단지 무용성을 강력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제주도내 환경단체들이 9일 공동성명을 내고 "토지주의 피해를 근거로 재생가능 에너지원인 풍력발전 자체를 부정해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환경단체는 그러나 공사 현장 인근에 있는 수산굴 가지굴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함께 산지전용이 드러날 경우 사업자에 대한 책임이 뒤따라야 한다고 요구했다. 제주환경운동연합화 제주참여환경연대, 곶자왈 사람들은 9일 한국녹색회의 풍력발전반대운동에 대한 공동성명을 통해 "한국녹색회가 주장하고 있는 문제 중 소음과 조류피해, 경관영향에 대한 문제제기는 정당하며 그 피해는 최소화 시켜야 하나 풍력발전 자체에 대한 반대까지 나가는 것은 심각한 우려를 표명할 수 밖에 없다"면서 "풍력발전에 대한 비효율성을 주장하고 있는 것은 풍력발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환경단체들은 "풍력발전의 가동률이 20% 정도라는 것은 풍력발전의 고유한 속성이긴 하나 풍력발전의 경제성은 그 어느 것보다 뛰어나다고 에너지 전문가들을 밝히고 있다"면서 "한국녹색회의 주장은 에너지 소비자인 국민의 입장에서 풍력발전을 바라보는 게 아니라 전기사업자인 한전의 관점을 그대로 수용한 잘못된 시각"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또 "'풍력발전으로 온실가시가 줄지 않는다'는 한국녹색회 주장은 재생가능에너지의 사용으로 화석연료 사용의 감축 등 파급효과를 간과한 해석"이라며 "풍력발전 자체가 직접적으로 온실가스를 줄이지는 않지만 풍력발전의 확대보급으로 사용이 줄어든 화석연료의 양만큼 온실가느 배출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